학술논문
‘색’을 적용한 ‘기능화성이론’의 음악교육방법에 관한 연구
이용수 120
- 영문명
- A Study of Music Education Method about ‘Functional Harmony Theory’ with Application of ‘Color’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김정선(Jeongseon Kim)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10호, 209~22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2.28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인지주의 학습이론의 측면에서 ‘기능화성이론’에 ‘색’을 적용하여 화성의 진행상태를 ‘컬러막대’로 표시하여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이 보다 쉽게 화성이론을 학습하도록 하는데 의의가 있다. 음악교육의 방법론적인 하나의 도구로써 ‘컬러 막대’(color stick)를 제시하고, ‘컬러막대’에 특정색을 지정하게 된 근거로써 온음계상의 3화음들과 변화화음들에 색채심리학에서 언급하는 각각의 색이 가지고 있는 보편적인 의미를 연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실제악곡 ‘고향의 봄’에 주요3화음, 부3화음, 이차적 딸림화음, 그리고 변화화음을 4단계에 걸쳐 적용하였다. 화성진행의 변화를 ‘컬러막대’와 함께 시각적으로 인지하고 화성기능이론을 학습하도록 하는 음악교육 방법론의 하나로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functional harmony with combination of color , and it will directly recognize a progress of internal harmony. This step will provide easy approach and understanding about harmony. For this step, researcher studies meaning of universal color mentioned in the study of color, and researcher make connection and proof about basis of specific color, which is very harmonious with meaning of universal color. Research applies this basis on real piece of music. First, It ll applied on tonic, dominant, sub-dominant chord, and second step is super-tonic, mediant, sub-mediant chord are applied. Third step is applied secondary dominant chord and then forth step is
applied changed chord which use accidental on the same piece of music. From change of ‘color stick’ through this process, change of harmonic progression will be recognized in optical way, and use of harmony will be easily learned.
목차
Ⅰ. 들어가면서
Ⅱ. 이론적 배경
Ⅲ. ‘고향의 봄’ 악곡 적용
Ⅳ. 나가면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교육으로서 음악교과교육의 정체성
- 예비 오디에이션 단계에서의 개념도를 활용한 음악교수 모델 제안
- 힙합문화와 음악교육콘텐츠
- ‘색’을 적용한 ‘기능화성이론’의 음악교육방법에 관한 연구
- 음악 테크놀로지 기반 통합교과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초등학교 음악수업에서 음악과 언어 영역과의 통합적 접근의 탐색
- 공명현상을 활용한 초등학교 기초과정 단소 지도 연구
- 음악대학원생들의 다문화에 대한 태도와 다문화 음악선호도와의 관계
- 음악과 음향의 해석에 따른 영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의 분석 연구
- 뮤직프로덕션과의 운영 실태와 미래 전망
- 20세기 프랑스 가곡의 맥락적 이해 -아더 오네거의 ‘거리의 연주자들’을 중심으로
- 현대음악의 특수기법을 활용한 창의적 모둠활동 중심의 교수․학습 방안
- 셴커식 분석 이론에 의한 창작 영역 교수․학습 모형 설계 및 개발
- 초보자를 위한 피아노 페달주법 학습에 관한 연구
- 영화 음악의 음악 교육적 가치와 활용
- ‘즐거운 생활’에서 음악적 활동의 통합교과적 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International journal of Marxism studies Vol.2 No.1 Contents
- 《资本论》中存在开端难题吗?——驳阿瑟的“新辩证法”
- 西方个人本位论及其意识形态变体的分析与反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