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음악 테크놀로지 기반 통합교과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이용수 397
- 영문명
-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Music-Technology-based Interdisciplinary Class: A Case in an After-School Class of an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강인애(Inae Kang) 김은진(Eunjin Kim) 서봉현(Bonghyun Seo)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10호, 57~7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2.28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음악 테크놀로지를 기반으로 음악 교육의 새로운 접근방법을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본 연구에 있어서 적용되어진 새로운 접근법은 첫째, 통합적 접근의 원리로서, 음악교육의 내용체계(활동․이해․생활화)의 통합 및 음악외의 다양한 교과목들과의 통합을 적용하였으며, 둘째, 음악테크놀러지를 수업활동의 중심적 도구로서 활용하였다. 이러한 목표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첫째, 음악 테크놀로지 기반 통합교과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고; 둘째, 이를 통해 학생들의 음악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함양시켜, 궁극적으로 음악의 일상화 및 생활화에 긍정적인 변화를 갖고 올 수 있는 지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한 초등학교의 방과후학교 수업에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을 3개월간 8차시(각 차시 80분)에 걸쳐 적용했으며, 그 결과는 다양한 평가 방법(설문조사, 마인드맵, 인터뷰)을 통해 분석, 제시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음악 테크놀로지 기반 통합교과 수업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음악 전반에 대한 이해를 넓혀주고 음악의 생활화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갖고 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new approach to music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socio-educational trends for post-modern values and IT mediated learning. The new approach in this study attempted, first, to utilize the principles of convergence both of the subcategories of music education (expression, understanding, and music in daily life) and of various subjects other than music, and secondly, to apply diverse digital technologies.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was 1) to develop the music technology-based interdisciplinary class reflecting the above design principles, and 2) to examine how the students of the class has been changed in terms of their attitude,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toward music. And for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several methods to collect and analyze data have been applied to the study: survey, concept mapping, and depth interview with the students. After implementing 8 classes (80minutes per class) to an after-school program of an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Do for three months, the results showed very positive changes of the students in the depth and breadth of their music understanding, expression, and appreciation in their liv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음악 테크놀로지 기반 통합교육 프로그램 적용 및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교육으로서 음악교과교육의 정체성
- 예비 오디에이션 단계에서의 개념도를 활용한 음악교수 모델 제안
- 힙합문화와 음악교육콘텐츠
- ‘색’을 적용한 ‘기능화성이론’의 음악교육방법에 관한 연구
- 음악 테크놀로지 기반 통합교과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초등학교 음악수업에서 음악과 언어 영역과의 통합적 접근의 탐색
- 공명현상을 활용한 초등학교 기초과정 단소 지도 연구
- 음악대학원생들의 다문화에 대한 태도와 다문화 음악선호도와의 관계
- 음악과 음향의 해석에 따른 영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의 분석 연구
- 뮤직프로덕션과의 운영 실태와 미래 전망
- 20세기 프랑스 가곡의 맥락적 이해 -아더 오네거의 ‘거리의 연주자들’을 중심으로
- 현대음악의 특수기법을 활용한 창의적 모둠활동 중심의 교수․학습 방안
- 셴커식 분석 이론에 의한 창작 영역 교수․학습 모형 설계 및 개발
- 초보자를 위한 피아노 페달주법 학습에 관한 연구
- 영화 음악의 음악 교육적 가치와 활용
- ‘즐거운 생활’에서 음악적 활동의 통합교과적 특성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