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ise of HTS in Post-Syrian Civil War and the Rethinking of Rebel Victory
- 발행기관
- 한국중동학회
- 저자명
- 이수진(Sooji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중동학회논총』제46권 제2호, 39~6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내전에서의 반군 승리를 단일한 정권 교체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내전 이후(post-conflict) 시기로까지 확장되는 복합적이고 다층적인 과정으로 재개념화한다. 2024년 시리아 내전과 하야트 타흐리르 알 샴(HTS)의 부상을 분석하면서, 내전 이후 군사적 승리만으로 지속 가능한 질서가 확보될 수 있는지를 묻는다. 분석 결과, 제도화, 정당성, 국제적 승인이 결여될 경우 새로운 정권은 취약하며 불안정이 재발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 드러났다. 시리아 사례는 단순한 군사적 승리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음을 보여주며, 반군 승리를 지속적 과정으로 평가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이러한 관점은 향후 중동 지역 내전 연구에 이론적 통찰을 제공하고, 전후 평화 구축을 위한 정책적 지침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reconceptualizes rebel victory in civil war not as a singular regime change but as a complex, multi-layered process extending into the post-conflict period. Examining the 2024 Syrian civil war and the rise of Ha’yat Tahrir al-Sham (HTS) through the perspective of institutionalization, legitimacy, and international recognition, it asks whether military victory alone secures sustainable order. The analysis demonstrates that without institutionalization, legitimacy, and international recognition, new regimes remain fragile and prone to renewed instability. The Syrian case illustrates that mere battlefield success is insufficient, highlighting the need to evaluate rebel victory as an ongoing process. This perspective provides theoretical insights for future research on civil war in the Middle East and policy guidance for post-conflict peacebuilding.
목차
Ⅰ. 서론
Ⅱ. 내전 종결과 다차원적 관점의 반군 승리
Ⅲ. 시리아 내전의 전개와 종결 (2011-2024)
Ⅳ. HTS의 정권 전환과 반군의 승리
V.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ssessing Continuity and Change: Transactional Diplomacy in Trump’s Middle East Policy Across Two Terms
- 아랍의 봄 이후 이주민 교육제도 비교 연구: 유럽 6개국을 중심으로
- 내전 배경 무슬림 난민의 자살 위험 요소 차이 분석: 한국과 이집트 비교 중심으로
- 한국전쟁 당시 튀르키예 언론에 나타난 한국문화
- 시리아 내전 이후 HTS의 부상과 반군 승리의 재해석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에 대한 이란의 입장과 이란-이스라엘 군사 충돌의 함의
- Navigating the Post-Assad Landscape in Syria: Israel’s Turkish Nightmare
- 편견의 사회문화적 법칙으로 살펴본 이슬람포비아 현상 비교: 미국, 독일, 대한민국을 중심으로
- 박물관 전시 내러티브를 통한 지역 정체성 구성: 사우디아라비아 카티프(Qatif) 지역을 중심으로
- ‘아랍인’이 본 페르시아인과 튀르크인: 아랍 정체성의 형성과 타자에 대한 인식 변화
- 한국인 예비 통역사의 아랍어 낭독 발화에 나타난 발음 오류 양상 연구
- 아랍어 학습자와 인공지능 번역기 간의 상호작용 유형이 아랍어 작문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오마르 하이얌의 『루바이야트』에 나타난 정통 이슬람신학 비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BEST
- ‘선량한 국제 시민성’과 보건외교: 대중동 지역(Greater Middle East)에 대한 튀르키예의 보건외교 정책 분석
- 제주지역 노인의 지역사회 계속거주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디지털 시대 뉴미디어 통일교육 방향과 과제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NEW
- Assessing Continuity and Change: Transactional Diplomacy in Trump’s Middle East Policy Across Two Terms
- 아랍의 봄 이후 이주민 교육제도 비교 연구: 유럽 6개국을 중심으로
- 내전 배경 무슬림 난민의 자살 위험 요소 차이 분석: 한국과 이집트 비교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