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Navigating the Post-Assad Landscape in Syria: Israel’s Turkish Nightmare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중동학회
- 저자명
- Farago, Niv
- 간행물 정보
- 『한국중동학회논총』제46권 제2호, 95~129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s Israel’s policy toward Syria in the post-Assad era. It analyzes the gain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for Israel and explains why it is concerned that Syria could evolve into a security threat even greater than before. Whereas the Trump administration encourages the Netanyahu government to pursue security arrangements with the new regime in Damascus, Israel’s policy of supporting centrifugal forces in Syria is aimed at countering not only al-Shara’s Islamist interim government but also its patron—Turkey. With the Turkish leadership referring to Damascus as the first stop on the road to Jerusalem, and Turkey being portrayed in Jerusalem as a threat potentially greater than Iran, tensions between two of America’s closest allies in the region have reached new heights. I argue that this dynamic, together with their growing military presence in Syria, necessitates the establishment of a US-administered de-confliction mechanism and the continued presence of US forces in the country as part of it. Preventing a major crisis over Syria between Turkey and Israel is essential to maintaining focus on significant challenges to US interests in East Asia and Europe.
영문 초록
목차
Ⅰ. Introduction
Ⅱ. Israeli Concerns and Interests
Ⅲ. The Collapse of Iran’s Network of Proxies
Ⅳ. Decoupling Iraq from Iran
Ⅴ. Turkish Nightmares and Israeli Decentralization Efforts
Ⅵ. Empowering Centrifugal Forces within Syria
Ⅶ. Conclusion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ssessing Continuity and Change: Transactional Diplomacy in Trump’s Middle East Policy Across Two Terms
- 아랍의 봄 이후 이주민 교육제도 비교 연구: 유럽 6개국을 중심으로
- 내전 배경 무슬림 난민의 자살 위험 요소 차이 분석: 한국과 이집트 비교 중심으로
- 한국전쟁 당시 튀르키예 언론에 나타난 한국문화
- 시리아 내전 이후 HTS의 부상과 반군 승리의 재해석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에 대한 이란의 입장과 이란-이스라엘 군사 충돌의 함의
- Navigating the Post-Assad Landscape in Syria: Israel’s Turkish Nightmare
- 편견의 사회문화적 법칙으로 살펴본 이슬람포비아 현상 비교: 미국, 독일, 대한민국을 중심으로
- 박물관 전시 내러티브를 통한 지역 정체성 구성: 사우디아라비아 카티프(Qatif) 지역을 중심으로
- ‘아랍인’이 본 페르시아인과 튀르크인: 아랍 정체성의 형성과 타자에 대한 인식 변화
- 한국인 예비 통역사의 아랍어 낭독 발화에 나타난 발음 오류 양상 연구
- 아랍어 학습자와 인공지능 번역기 간의 상호작용 유형이 아랍어 작문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오마르 하이얌의 『루바이야트』에 나타난 정통 이슬람신학 비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BEST
- ‘선량한 국제 시민성’과 보건외교: 대중동 지역(Greater Middle East)에 대한 튀르키예의 보건외교 정책 분석
- 제주지역 노인의 지역사회 계속거주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디지털 시대 뉴미디어 통일교육 방향과 과제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NEW
- Assessing Continuity and Change: Transactional Diplomacy in Trump’s Middle East Policy Across Two Terms
- 아랍의 봄 이후 이주민 교육제도 비교 연구: 유럽 6개국을 중심으로
- 내전 배경 무슬림 난민의 자살 위험 요소 차이 분석: 한국과 이집트 비교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