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랍의 봄 이후 이주민 교육제도 비교 연구: 유럽 6개국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f Education Systems for Immigrants after the Arab Spring: Focusing on Six European Countries
발행기관
한국중동학회
저자명
김은지(Eun-ji Kim) 이경수(Kyung-soo Lee)
간행물 정보
『한국중동학회논총』제46권 제2호, 131~164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 사회에서 이주민의 수용과 사회통합에 대한 논의가 심화됨에 따라, 이주민 자녀의 교육 문제 또한 중요한 사회적 의제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독일, 오스트리아, 스웨덴을 포함한 유럽 6개국을 대상으로, 이주배경 학생을 위한 공교육 제도와 정책의 특성을 비교·분석하고 그 성과와 한계를 검토하였다. 특히 아랍의 봄 이후 이주 및 난민 유입 동향과 더불어 교육권 보장, 언어 지원 제도의 운영 여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유럽 국가들은 서로 다른 사회적 맥락 속에서 다양한 이주 집단을 수용해 왔으며, 이주배경 학생을 위한 교육제도 또한 다층적이고 다양한 방식으로 발전해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도의 구체적 차이는 존재하지만, 공통적으로 이들 국가의 경험은 이주 아동에게 교육권을 보편적으로 보장하는 동시에 언어 지원과 사회적 포용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필수적임을 보여준다. 또한 각국의 상황에 맞추어 운영되는 제도와 프로그램은 한국 사회가 직면한 유사한 과제에 실질적인 참고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사회가 다문화·포용적 사회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교육정책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적 논의의 장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and compares the public education systems and policies for immigrant students in six European countries—Germany, Austria, Sweden, and others—that faced a significant increase in immigrant populations following the Arab Spring.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each country’s approach to immigrant education, with a particular focus on how educational rights, language support, and social integration have been addressed. The analysis is based on a review of academic literature, official report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 data, which allows for a systematic comparison of national policy frameworks. Although the six countries operate within different social and political contexts, the findings reveal several commonalities. Most importantly, all countries emphasize the universal guarantee of the right to education for immigrant children, provide varying forms of language assistance, and promote measures to facilitate social integration within schools and communities. At the same time, structural challenges remain, including disparities in implementation, unequal resource allocation, and persistent barriers to long-term educational success. The European experiences illustrate the importance of adapting institutional frameworks to specific social conditions while maintaining a universal commitment to inclusive education. These insights provide valuable guidance for Korea as it seeks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educational framework that supports multicultural cohesion and sustainable integration in a diversifying society.

목차

Ⅰ. 서론
Ⅱ. 이주민 대상 교육제도와 다문화 교육
Ⅲ. 유럽 국가의 중동 출신 이주민 대상 교육정책
Ⅳ. 유럽 국가의 이주민 대상 교육제도의 한계와 도전 과제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지(Eun-ji Kim),이경수(Kyung-soo Lee). (2025).아랍의 봄 이후 이주민 교육제도 비교 연구: 유럽 6개국을 중심으로. 한국중동학회논총, 46 (2), 131-164

MLA

김은지(Eun-ji Kim),이경수(Kyung-soo Lee). "아랍의 봄 이후 이주민 교육제도 비교 연구: 유럽 6개국을 중심으로." 한국중동학회논총, 46.2(2025): 131-1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