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내전 배경 무슬림 난민의 자살 위험 요소 차이 분석: 한국과 이집트 비교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Comparative Analysis of Suicide Risk Factors Among Muslim Refugees from Humanitarian Crisis: Focus on South Korea and Egypt
발행기관
한국중동학회
저자명
서희웅(Hee Wung Seo)
간행물 정보
『한국중동학회논총』제46권 제2호, 207~246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한국 내 인도적 체류자와 이집트 내 사실상 난민으로 분류되는 중동 및 북아프리카(MENA) 출신 난민들이 PTSD, 경제적 부담, 우울, 공격성과 같은 자살 위험 요인으로부터 벗어나 안정적이고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개입 전략의 기초를 마련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의 박사학위 논문 작성을 위해 수집된 2차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내전을 피해 한국으로 입국한 시리아, 이라크, 리비아, 예멘, 팔레스타인, 수단 출신의 인도적 체류자들과, 무력 분쟁을 피해 이집트로 온 사실상 난민들로 구성되었다. 한국에서는 2023년 6월부터 2024년 7월까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총 100명의 인도적 체류자가 조사에 참여했으며, 불완전한 응답을 제외한 최종 표본은 94명이었다. 이집트에서는 중동과 아프리카 출신 사실상 난민 304명이 모집되었고, 이 가운데 3명의 불완전한 응답을 제외한 최종 표본은 301명이었다. 따라서 최종 분석에 사용된 전체 표본은 한국과 이집트에 입국한 중동 및 아프리카 출신 난민 총 395명이었다. 데이터 정제 과정을 거친 후 SPSS 25.0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PTSD, 경제적 부담, 우울, 공격성은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이집트의 사실상 난민들은 한국의 인도적 체류자들보다 PTSD, 경제적 부담, 우울, 공격성의 평균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우울을 제외한 PTSD, 경제적 부담, 공격성 수준의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PTSD, 경제적 부담, 우울, 공격성이 서로 정적으로 상관되어 있고, 이집트 내 사실상 난민들이 한국의 인도적 체류자들보다 PTSD, 경제적 부담, 공격성 수준이 더 높다는 점을 고려할 때, 아직 공개되지 않은 이집트 난민법의 시행령과 시행규칙에는 사실상 난민들의 정신건강권을 포함한 권리 보장을 명시적으로 담아야 할 필요가 있다. 한편, 한국 내 인도적 체류자를 대상으로 한 PTSD, 우울, 공격성, 경제적 부담에 대한 평가에서도 이들 문제가 상당 수준으로 드러나, 인도적 체류자들을 위한 정신건강 및 경제적 지원 강화를 뒷받침하는 근거를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intervention strategies that enable humanitarian residents in South Korea and prima facie refugees in Egypt, originating from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to lead stable and healthy lives without suicide risk factors such as PTSD, financial strain, depression and aggression. In this study, secondary data collected for the author’s doctoral dissertation are utilized. The research participants included humanitarian residents in South Korea who had fled civil wars in the Middle East and Africa (e.g., Syria, Iraq, Libya, Yemen, Palestine, and Sudan), as well as prima facie refugees in Egypt who had similarly fled armed conflicts. In South Korea, a total of 100 humanitarian residents participated in both online and offline surveys between June 2023 and July 2024; after excluding incomplete responses, the final sample consisted of 94 participants. In Egypt, 304 prima facie refugees from the Middle East and Africa were recruited. After excluding three incomplete responses, a total of 301 participants were finalized as the study sample. Accordingly, the overall sample comprised 395 individuals from the Middle East and Africa who had entered South Korea or Egypt due to civil wars in their countries of origin. Following the data cleaning process, the final dataset was analyzed using SPSS 25.0. The analysis reveals that PTSD, financial strain, depression, and aggression were all positively correlated. The mean levels of PTSD, financial strain, depression, and aggression were higher among prima facie refugees in Egypt than among humanitarian residents in South Korea. Moreove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PTSD, financial strain, and aggression—though not in depression—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Given that PTSD, financial strain, depression, and aggression are positively correlated and that prima facie refugees in Egypt exhibit higher levels of PTSD, aggression, and financial strain compared to humanitarian residents in South Korea, It is proposed that the enforcement decree and enforcement rule of Egypt's refugee law, which are yet to be released, should explicitly include provisions that promote rights including right to mental health for prima facie refugees residing in Egypt. An assessment of PTSD, depression, aggression, and financial strain among humanitarian residents in South Korea reveals significant levels of these issues, providing evidence for the necessity of strengthening mental health and financial support for humanitarian resid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Ⅵ. 연구 한계점 및 향후 연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희웅(Hee Wung Seo). (2025).내전 배경 무슬림 난민의 자살 위험 요소 차이 분석: 한국과 이집트 비교 중심으로. 한국중동학회논총, 46 (2), 207-246

MLA

서희웅(Hee Wung Seo). "내전 배경 무슬림 난민의 자살 위험 요소 차이 분석: 한국과 이집트 비교 중심으로." 한국중동학회논총, 46.2(2025): 207-2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