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ersians and Turks as Seen by the Arabs: The Formation of Arab Identity and Changing Views of the ‘Other’
- 발행기관
- 한국중동학회
- 저자명
- 황의현(Yuihyun Hwang)
- 간행물 정보
- 『한국중동학회논총』제46권 제2호, 277~30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아랍인 정체성의 형성 과정을 살펴보고, 이슬람권의 비아랍인인 페르시아인과 튀르크인에 대한 아랍인의 인식을 추적해 아랍 '종족'의 존재를 확인하고자 한다. 7세기 이슬람의 등장과 아라비아 부족의 중동 정복과 함께 아랍어를 사용하는 정주인과 아라비아의 여러 유목 부족을 아우르는 ’아랍인‘이라는 인식이 등장했다. 이후 비아랍인이 이슬람으로 개종하며 아랍인의 범주는 비아랍인 혈통을 가졌지만 아랍어를 모어로 사용하고 아랍 문화 속에서 태어난 사람까지 포함하도록 확장되었다. 언어와 문화를 중심으로 하는 ’아랍인‘이라는 범주가 정착되자 페르시아인과 튀르크인을 같은 무슬림이면서도 아랍인과는 다른 집단으로 바라보는 인식도 나타났다. 이에 더해 이 글은 아랍인들의 집단 기억에 존재하던 페르시아인과 튀르크인에 대한 인식이 20세기 이후 정치적 변화에서 어떻게 재발견되고 재해석되어 타자를 적대하는 담론을 구성했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역사가 정치적 맥락에 따라 이용될 수 있다는 단순한 설명을 넘어 역사가 정치적 담론으로 기능하는 데 필요한 조건을 살펴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plores the formation of Arab identity and Arabs’ perceptions of Persians and Turks before the modern era. With the rise of Islam and the 7th-century Arab conquests, the notion of “Arab” came to encompass both Arabic-speaking settlers and nomadic tribes, and later extended to non-Arab groups who adopted Arabic language and culture. As Arab identity centered on language and culture, Persians and Turks—though fellow Muslims—were seen as distinct. The article also traces how these perceptions were revived and reinterpreted in the 20th century amid political change, shaping discourses of hostility toward the “other.” In doing so, it moves beyond viewing history merely as a political tool to consider the conditions under which it functions as political discourse.
목차
Ⅰ. 서론
Ⅱ. ‘아랍인’의 경계 변화
Ⅲ. 페르시아인의 도전과 아랍의 반격
Ⅳ. 아랍이 바라본 튀르크인: 야만인에서 압제자로
Ⅴ. 결론: 역사의 재발견과 이용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ssessing Continuity and Change: Transactional Diplomacy in Trump’s Middle East Policy Across Two Terms
- 아랍의 봄 이후 이주민 교육제도 비교 연구: 유럽 6개국을 중심으로
- 내전 배경 무슬림 난민의 자살 위험 요소 차이 분석: 한국과 이집트 비교 중심으로
- 한국전쟁 당시 튀르키예 언론에 나타난 한국문화
- 시리아 내전 이후 HTS의 부상과 반군 승리의 재해석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에 대한 이란의 입장과 이란-이스라엘 군사 충돌의 함의
- Navigating the Post-Assad Landscape in Syria: Israel’s Turkish Nightmare
- 편견의 사회문화적 법칙으로 살펴본 이슬람포비아 현상 비교: 미국, 독일, 대한민국을 중심으로
- 박물관 전시 내러티브를 통한 지역 정체성 구성: 사우디아라비아 카티프(Qatif) 지역을 중심으로
- ‘아랍인’이 본 페르시아인과 튀르크인: 아랍 정체성의 형성과 타자에 대한 인식 변화
- 한국인 예비 통역사의 아랍어 낭독 발화에 나타난 발음 오류 양상 연구
- 아랍어 학습자와 인공지능 번역기 간의 상호작용 유형이 아랍어 작문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오마르 하이얌의 『루바이야트』에 나타난 정통 이슬람신학 비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BEST
- ‘선량한 국제 시민성’과 보건외교: 대중동 지역(Greater Middle East)에 대한 튀르키예의 보건외교 정책 분석
- 제주지역 노인의 지역사회 계속거주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디지털 시대 뉴미디어 통일교육 방향과 과제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NEW
- Assessing Continuity and Change: Transactional Diplomacy in Trump’s Middle East Policy Across Two Terms
- 아랍의 봄 이후 이주민 교육제도 비교 연구: 유럽 6개국을 중심으로
- 내전 배경 무슬림 난민의 자살 위험 요소 차이 분석: 한국과 이집트 비교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