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presentation of Korean Culture in the Turkish Press during the Korean War
- 발행기관
- 한국중동학회
- 저자명
- 이난아(Nan-A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중동학회논총』제46권 제2호, 301~32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전쟁은 단순히 군사적 충돌이 아니었다. 이는 수많은 생명 손실과 한반도 전체의 파괴를 초래한 국가적 비극이었으며, 냉전 시대의 상징적인 충돌이기도 했다. 전쟁 기간 동안 전 세계 각국에서 파견된 전쟁 특파원들은 전선의 혹독한 현실과 그로 인한 인도주의적 위기를 기사, 사진, 영상 등 다양한 형태로 보도해 자국에서 출판되었다. 특히 사진은 전쟁을 직접 목격할 수 없는 대중에게 전장의 끔찍한 현실을 생생하게 전달하는 강력한 매체였다. 튀르키예 종군기자들은 한국 주택과 생활 방식이 매우 이국적이라고 느꼈다. 그들은 특히 미닫이문, 종이 창문, 화려한 벽지, 분뇨 항아리 등 전통적인 자원 활용 방식과 바닥에 앉아 먹고 자는 독특한 바닥 좌식문화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때로는 이러한 풍습을 이상하거나 낯선 것으로 보기도 했지만, 이 과정에서 문화적 다양성과 상대주의에 대한 인식을 보여주었다. 음식 문화 기사에서 튀르키예 군인들의 한국 음식에 대한 두려움과 경계심, 동시에 호기심과 놀라움이 드러난다. 쥐 고기 같은 재료에 대한 소문 때문에 현지 음식에 대해 조심스러워했지만, 새로운 요리 방법과 재료에 관심도 보였다. 전쟁 중에도 종군기자들은 한국인들의 따뜻함과 환대, 단순한 식사 풍습, 그리고 음식 통해 표현되는 ‘정’과 환대의 중요성에 감동받았다. 결국, 한국에서 활동한 튀르키예 종군기자들의 기록은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문화적 다리 역할을 하며, 전쟁의 참상과 한국에서의 일상생활 및 문화에 대한 포괄적인 통찰을 튀르키예 대중에게 제공했다. 그들의 기사 및 사진은 튀르키예 독자들이 낯선 문화를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했으며, 이는 전쟁을 통해 이루어진 문화 간 소통의 중요한 사례로 평가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Korean War was not just a military conflict; it was a national tragedy that resulted in the loss of many lives and the destruction of the entire Korean Peninsula. It was also a symbolic clash of the Cold War era. During the war, war correspondents dispatched from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reported on the harsh realities of the front lines and the resulting humanitarian crisis in various forms, such as articles, photographs and videos, for publication in their home countries. Photographs in particular were a powerful medium for vividly conveying the horrors of the battlefield to a public unable to witness the war firsthand. Turkish war correspondents found Korean houses and ways of life very exotic. They were particularly impressed by the traditional use of resources such as sliding doors, paper windows, colourful wallpaper and manure jars, as well as the unique floor-seating culture of sitting and sleeping on the floor. Sometimes, they viewed these customs as strange or unfamiliar, displaying an awareness of cultural diversity and relativism in the process. In articles about food culture, Turkish soldiers' feelings of fear and wariness towards Korean food, alongside curiosity and amazement, are evident. Due to rumours about ingredients such as rat meat, they were cautious of local food, yet they also showed interest in new cooking methods and ingredients. Even during wartime, war correspondents were touched by the warmth and hospitality of the Korean people, their simple dining customs, and the importance of 'jeong' (a sense of affection and attachment) and the hospitality expressed through food. Ultimately, the records of Turkish war correspondents in Korea went beyond the mer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serving as a cultural bridge and providing the Turkish public with a comprehensive insight into both the horrors of war and everyday life and culture in Korea, even amidst conflict. Their articles and photographs enabled Turkish readers to view unfamiliar cultures in a new light, and they can be regarded as an important example of cross-cultural communication through war.
목차
Ⅰ. 서론
Ⅱ. 한국전쟁 당시 휘리예트 신문에 나타난 한국문화
Ⅲ.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ssessing Continuity and Change: Transactional Diplomacy in Trump’s Middle East Policy Across Two Terms
- 아랍의 봄 이후 이주민 교육제도 비교 연구: 유럽 6개국을 중심으로
- 내전 배경 무슬림 난민의 자살 위험 요소 차이 분석: 한국과 이집트 비교 중심으로
- 한국전쟁 당시 튀르키예 언론에 나타난 한국문화
- 시리아 내전 이후 HTS의 부상과 반군 승리의 재해석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에 대한 이란의 입장과 이란-이스라엘 군사 충돌의 함의
- Navigating the Post-Assad Landscape in Syria: Israel’s Turkish Nightmare
- 편견의 사회문화적 법칙으로 살펴본 이슬람포비아 현상 비교: 미국, 독일, 대한민국을 중심으로
- 박물관 전시 내러티브를 통한 지역 정체성 구성: 사우디아라비아 카티프(Qatif) 지역을 중심으로
- ‘아랍인’이 본 페르시아인과 튀르크인: 아랍 정체성의 형성과 타자에 대한 인식 변화
- 한국인 예비 통역사의 아랍어 낭독 발화에 나타난 발음 오류 양상 연구
- 아랍어 학습자와 인공지능 번역기 간의 상호작용 유형이 아랍어 작문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오마르 하이얌의 『루바이야트』에 나타난 정통 이슬람신학 비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BEST
- ‘선량한 국제 시민성’과 보건외교: 대중동 지역(Greater Middle East)에 대한 튀르키예의 보건외교 정책 분석
- 제주지역 노인의 지역사회 계속거주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디지털 시대 뉴미디어 통일교육 방향과 과제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NEW
- Assessing Continuity and Change: Transactional Diplomacy in Trump’s Middle East Policy Across Two Terms
- 아랍의 봄 이후 이주민 교육제도 비교 연구: 유럽 6개국을 중심으로
- 내전 배경 무슬림 난민의 자살 위험 요소 차이 분석: 한국과 이집트 비교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