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Pronunciation Errors in Arabic Read-Aloud Speech of Korean Student Interpreters
- 발행기관
- 한국중동학회
- 저자명
- 조정민(Jungmin Jo)
- 간행물 정보
- 『한국중동학회논총』제46권 제2호, 365~39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4년에 걸쳐 한국인 예비 통역사의 연설문 낭독 발화 41건을 수집하여 발음 오류를 분석하고, 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총 237건의 발음 오류 중 198건이 모음 오류였으며, 가장 빈번한 오류는 장모음의 단모음화였다. 특히 مفاعيل형 복수 명사, 여성 규칙 복수 명사, 대거 알리프 형태에서 오류가 집중되었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예비 통역사들이 자유 발화와 통역 발화에서도 모음(장모음과 단모음의 구분)을 가장 어려운 발음 요소로 인식하였으며, 발음의 어려움은 체계적인 발음 교육과 원어민과의 상호작용 기회 부족에서 비롯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pronunciation errors in 41 read-aloud speeches delivered by Korean student interpreters over four years and conducted a survey with 11 Korean student interpreters. The analysis identified 237 pronunciation errors in total, 198 of which were vowel-related, with the most frequent error being the shortening of long vowels. These errors were concentrated in plural nouns of the مفاعيل pattern, feminine regular plurals, and forms containing the dagger alif. The survey indicated that participants perceived distinguishing between long and short vowels as the most difficult aspect of pronunciation in both spontaneous and interpreted speech. These difficulties were attributed to a lack of systematic pronunciation instruction and limited opportunities for interaction with native speake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내용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ssessing Continuity and Change: Transactional Diplomacy in Trump’s Middle East Policy Across Two Terms
- 아랍의 봄 이후 이주민 교육제도 비교 연구: 유럽 6개국을 중심으로
- 내전 배경 무슬림 난민의 자살 위험 요소 차이 분석: 한국과 이집트 비교 중심으로
- 한국전쟁 당시 튀르키예 언론에 나타난 한국문화
- 시리아 내전 이후 HTS의 부상과 반군 승리의 재해석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에 대한 이란의 입장과 이란-이스라엘 군사 충돌의 함의
- Navigating the Post-Assad Landscape in Syria: Israel’s Turkish Nightmare
- 편견의 사회문화적 법칙으로 살펴본 이슬람포비아 현상 비교: 미국, 독일, 대한민국을 중심으로
- 박물관 전시 내러티브를 통한 지역 정체성 구성: 사우디아라비아 카티프(Qatif) 지역을 중심으로
- ‘아랍인’이 본 페르시아인과 튀르크인: 아랍 정체성의 형성과 타자에 대한 인식 변화
- 한국인 예비 통역사의 아랍어 낭독 발화에 나타난 발음 오류 양상 연구
- 아랍어 학습자와 인공지능 번역기 간의 상호작용 유형이 아랍어 작문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오마르 하이얌의 『루바이야트』에 나타난 정통 이슬람신학 비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BEST
- ‘선량한 국제 시민성’과 보건외교: 대중동 지역(Greater Middle East)에 대한 튀르키예의 보건외교 정책 분석
- 제주지역 노인의 지역사회 계속거주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디지털 시대 뉴미디어 통일교육 방향과 과제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NEW
- Assessing Continuity and Change: Transactional Diplomacy in Trump’s Middle East Policy Across Two Terms
- 아랍의 봄 이후 이주민 교육제도 비교 연구: 유럽 6개국을 중심으로
- 내전 배경 무슬림 난민의 자살 위험 요소 차이 분석: 한국과 이집트 비교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