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동차보험 수리비 분쟁의 원인과 해결 방안에 관한 연구 - 수리 전 손해사정 필요성과 도입 방안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Causes and Solutions for Automobile Insurance Repair Cost Disputes : Focusing on the Necessity and Implementation Methods of Pre-repair Loss Adjustment
발행기관
한국보험법학회
저자명
김영국(Young Kook Kim)
간행물 정보
『보험법연구』제19권 제3호, 219~270쪽, 전체 52쪽
주제분류
법학 > 민법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0
9,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자동차보험 제도 전반에 만연한 불신과 비효율성을 진단하고, 특히 대물사고 영역에서 고질적인 ‘수리 후 손해사정’ 관행이 야기하는 수리비 분쟁 및 불공정성 문제의 해결 방안을 모색하였다. 기존 ‘수리 후 손해사정’은 보험사와 정비업체 간의 심각한 정보 비대칭성, 수리비 산정기준의 모호성, 보험금 사후 삭감 등 불합리한 관행을 고착화하여 소비자 불만 가중, 정비업체의 경영난 심화, 보험사의 손해율 악화, 궁극적으로 보험료 부담을 증대시키는 구조적 문제점을 내포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투명하고 합리적인 수리비 산정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본 연구는 ‘수리 전 손해사정’ 제도의 도입을 필수적인 패러다임 전환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수리 전 손해사정’ 도입을 위한 시대적 배경 및 환경적 전제를 고찰하고, 과거 시범사업의 실패 요인을 분석하여 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재추진 로드맵을 수립하였다. 또한, 미국, 영국, 호주 등 해외 주요국의 사례 분석을 통해 국내 적용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디지털 기술(AI 기반 손상 분석)의 발전과 첨단 기술 차량의 증가는 제도의 도입 필요성과 실현 가능성을 동시에 증대시킨다. 물론 부품 가격 결정 구조 개선이나 인증 부품 활성화와 같은 현행 제도의 부분적 해결 방안도 가능하나, 이는 정보 비대칭성 해소 및 사후 삭감 관행과 같은 ‘수리 후 손해사정’의 근본적 취약점을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따라서 ‘수리 전 손해사정’ 제도의 도입과 병행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아울러 ‘수리 전 손해사정’ 도입 초기 발생할 수 있는 수리 지연, 업무 부담 증가 등 잠재적 부작용에 대한 인지와 함께, 경미 사고 신속 처리 제도, AI 기반 시스템 활용 등의 보완 과제 및 연착륙 방안을 함께 고려하였다. 본 연구는 ‘수리 전 손해사정’의 성공적인 제도화를 위한 구체적인 법적·정책적 제언들을 제시하였다. 주요 제언으로는 탄탄한 법적 기반을 구축하고 과거 시범사업 실패 교훈을 반영한 재추진 로드맵을 제시한다. 아울러 이해관계자 간 상생을 위한 제도 설계로서 수리비 산정기준 합리화 및 부품 가격 투명성 제고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사전 합의 불발 및 분쟁 발생 시 신속하고 공정하게 해결할 독립적 분쟁조정기구 활성화를 모색하며, 현행 수리비 산정 제도의 개선 및 인증 부품 활성화 등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제도의 성공적인 연착륙을 위한 이해관계자별 잠재적 반발 요인을 분석하고 상생적 설득 전략을 마련하는 방안을 강조한다. 궁극적으로 ‘수리 전 손해사정’ 제도의 정착은 자동차보험 수리 과정의 투명성과 예측 가능성을 높여 불필요한 분쟁을 예방하고, 보험소비자의 권익을 선제적으로 보호하는 동시에, 보험사와 정비업체 간의 상생 협력 및 시장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견인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iagnoses the widespread distrust and inefficiency prevalent in the overall automobile insurance system, focusing on resolving chronic disputes over repair costs and unfairness issues caused by the entrenched “post-repair assessment” practice in the property damage sector. The existing “post-repair assessment” practice harbors structural problems, including severe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insurers and repair shops, ambiguity in repair cost calculation standards, and arbitrary post-facto reduction of insurance payouts. These issues exacerbate consumer complaints, deepen management difficulties for repair shops, worsen insurers' loss ratios, and ultimately increase premium burdens. Furthermore, issues in the personal injury sector, such as controversies over excessive treatment and appropriateness of costs for minor injury patients, also lead to insurance leakage, acting as a core cause of undermining trust in the entire automobile insurance system. To address these problems and establish a transparent and rational repair cost calculation culture, this study proposes the introduction of a “pre-repair assessment” system as an essential paradigm shift. The advancement of digital technologies (AI-based damage analysis) and the increase in advanced technology vehicles simultaneously enhance the necessity and feasibility of introducing this system. While partial improvements to the current system, such as refining parts pricing structures and activating certified parts, could address some issues, they are insufficient to resolve fundamental vulnerabilities of the “post-repair assessment” practice, such as information asymmetry and post-facto payment reductions. Therefore, the introduction of a “pre-repair assessment” system in conjunction with these improvements is emphasized. Additionally, this study acknowledges potential side effects during the initial phase of pre-repair assessment adoption, such as repair delays and increased workload, and considers complementary measures for smooth implementation, including a fast-track system for minor accidents and the utilization of AI-based systems. This study presents concrete legal and policy recommendations for the successful institutionalization of “pre-repair assessment.” Key recommendations include: firstly, strengthening the legal foundation through amendments to the “Automobile Liability Security Act,” encompassing measures such as mandatory damage confirmation and pre-repair agreements. Secondly, a re-strategy is proposed based on the analysis of past pilot project failures, advocating for strong legal enforceability, accompanying incentives, and government-led digital system construction. Thirdly, to ensure the successful soft-landing of the system, strategies are highlighted for analyzing potential resistance from various stakeholders and developing win-win persuasion tactics. Fourthly, institutional design for coexistence among stakeholders is proposed, focusing on rationalizing repair cost standards and enhancing parts price transparency. Fifthly, the activation of an independent dispute resolution body is sought to swiftly and fairly resolve issues arising from failed pre-agreements or subsequent disputes. Finally, the improvement of the current repair cost calculation system and the activation of certified parts are incorporated. Ultimately, the establishment of the “pre-repair assessment” system is expected to serve as a crucial turning point. It will enhance transparency and predictability in the automobile insurance repair process, prevent unnecessary disputes, proactively protect the rights and interests of insurance consumers, and foster a win-win cooperation between insurers and repair shops, thereby driving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automotive insurance market.

목차

Ⅰ. 서 론
Ⅱ. 자동차보험수리비분쟁의배경과‘수리후 손해사정’ 관행의 구조적 한계
Ⅲ. ‘수리 전 손해사정’ 관련 해외 사례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Ⅳ. ‘수리 전 손해사정’ 도입의 전제 조건 및 제도화 방안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국(Young Kook Kim). (2025).자동차보험 수리비 분쟁의 원인과 해결 방안에 관한 연구 - 수리 전 손해사정 필요성과 도입 방안을 중심으로. 보험법연구, 19 (3), 219-270

MLA

김영국(Young Kook Kim). "자동차보험 수리비 분쟁의 원인과 해결 방안에 관한 연구 - 수리 전 손해사정 필요성과 도입 방안을 중심으로." 보험법연구, 19.3(2025): 219-2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