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교육에서 디지털에 대한 존재론적 탐구: Yuk Hui의 기술철학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n Ontological Inquiry of the Digital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ocusing on Yuk Hui’s Philosophy of Technology
발행기관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저자명
이예솔(YeSol Lee) 정혜영(HyeYoung Jung)
간행물 정보
『영유아교육과정연구』제15권 제4호, 89~119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Yuk Hui의 기술철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에서 디지털에 대한 존재론적 탐구를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 전문가 5인을 목적 표집으로 선정하여, 2024년 8월부터 9월까지 총 2회의 포커스 그룹 토론(FGD)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디지털과 함께 되어가는 유아의 세계, 디지털을 감각하는 지금-여기-유아의 신체, 디지털 연합 환경 사이-내부에서 생성되는 유아의 배움’으로 범주화되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급변하는 시대에 디지털과 인간의 관계는 서로 갈마들며 얽혀가고 있었으며, 유아의 삶은 디지털과 함께 세계하기로 나아가고 있었다. 둘째, 미래 교육이라는 담론에 가려진 의미들을 마주하며, 디지털을 감각하는 유아의 신체와 이를 통해 새롭게 생성되는 또 다른 장에 주목할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셋째, 놀이하며 디지털과 연합하는 유아의 배움에 귀를 기울이는 교사의 윤리적 실천을 통해, 학습자인 유아와 디지털 객체가 공동-형상화하는 교육 환경이 수평적 네트워크로 확장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교육 현장에 이미 얽혀 있는 물질로서의 디지털을 새롭게 조망하고, 이러한 존재론적 사유를 기반하여 유아와 디지털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새로운 교육적 방향을 모색하는 데 학문적·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n ontological inquiry of the digital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ocusing on Yuk Hui’s Philosophy of Technology. For this purpose, f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were selected through purposive sampling, and two focus group discussions (FGDs) were conducted between August and September 2024. The resul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hemes: “The child’s worlding-with the digital,” “The now-here body of the child sensing the digital” and “The child’s learning emerging within the digitally associated milieu.” The specific details are as follows. First, in a rapidly changing era,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gital and humans was intertwined, and children's lives were moving toward a state of worlding-with the digital. Second, by confronting the meanings obscured by the discourse of future education, the study highlighted the need of paying attention to the child‘s sensing body and the new fields generated through this experience. Third, through teachers’ ethical practices of listening to children’s learning as they play and associate with the digital, it showed the potential for educational environments―co-figured by young learners and digital objects―to expand into horizontal networks. This study provide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exploring new educational directions by re-examining the digital as the material that is already entangl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and by deeply reflect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and the digital based on this ontological perspectiv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예솔(YeSol Lee),정혜영(HyeYoung Jung). (2025).유아교육에서 디지털에 대한 존재론적 탐구: Yuk Hui의 기술철학을 중심으로. 영유아교육과정연구, 15 (4), 89-119

MLA

이예솔(YeSol Lee),정혜영(HyeYoung Jung). "유아교육에서 디지털에 대한 존재론적 탐구: Yuk Hui의 기술철학을 중심으로." 영유아교육과정연구, 15.4(2025): 89-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