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적인 전문성에서 살아 있는 배움으로: 얽힘 개념을 중심으로 한 교사 배움의 재구성

이용수  0

영문명
From Static Professionalism to Living Learning: A Reconstruction of Teachers' Learning through the Lens of Entanglement
발행기관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저자명
유현주(HyunJu Ryu) 김경철(KyungChul Kim)
간행물 정보
『영유아교육과정연구』제15권 제4호, 120~140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교사의 배움이 어떻게 재구성되는지를, 원내 놀이지원 학습공동체의 실천과 관계적 얽힘 속에서 탐구하였다. 이는 영유아-교사-언어-순간이 맞물려 형성되는 배움의 관계적 흐름으로 재조명하려는 시도였다. 연구는 연구자가 원장으로 근무하는 P직장어린이집에서 약 7개월간 진행되었으며, 6명의 담임교사가 참여하였다. 자료는 정기 학습공동체, 연령별 놀이협의, 개별 면담, 참여관찰, 놀이기록·사진·영상자료 등을 통해 생성되었으며, 인비보 코딩을 기반으로 반복, 되비춤, 얽힘의 패턴을 추적하였다. 연구자는 관찰자에 머무르지 않고 관계 속에서 감응하며 해석을 조정하는 실천 주체로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교사의 배움은 세 가지 흐름으로 나타났다. 첫째, 낯선 언어로 자신을 다시 들으며 익숙한 실천을 재인식하고 감각을 조정하였다. 둘째, 반복과 되비춤의 리듬 속에서 유사한 장면을 새롭게 해석하며 개입과 반응을 재구성하였다. 셋째, 얽혀가는 실천 속에서 배움은 공동체 안에서 상호 구성되며 확장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의 배움이 고정된 자질이 아니라 관계 속에서 끊임없이 생성되는 과정임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교사의 전문성은 고정된 자격이 아니라 관계 속에서 변형되고 재구성되는 살아 있는 과정이었다. 이에 따라 교사교육은 감응적 관찰과 관계적 해석 역량을 강화하고, 장기적 학습공동체 운영을 제도적·환경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본 연구는 교사의 배움을 관계 속 공동의 생성 흐름으로 재사유함으로써. 유아교육 실천과 연구 모두에 전환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how teachers’ learning is reconstructed within the practices and relational entanglements of an in-house play-support learning commun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t sought to reconceptualize learning as a relational flow shaped by the interweaving of children, teachers, language, and moments. The research was conducted over approximately seven months at the P Workplace Childcare Center, where the researcher served as director, with the participation of six homeroom teachers. Data were generated through regular learning community meetings, age-level play consultations, individual interviews,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various play records, photographs, and video materials. Analysis was based on in vivo coding, tracing patterns of repetition, re-reflection, and entanglement. The researcher participated not as a detached observer but as an engaged practitioner who responded and adjusted interpretations within relationships. Findings revealed three interrelated flows of teacher learning. First, in “listening to oneself through unfamiliar language,” teachers re-recognized familiar practices and adjusted their perceptions. Second, through “the rhythm of repetition and re-reflection,” teachers reinterpreted similar scenes and reconstructed their interventions and responses. Third, within “entangled practices,” learning was co-constructed and expanded through communal interact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eachers’ learning is not a fixed attribute but an ongoing process continually generated through relationships. In conclusion, teacher professionalism emerged as a living, relational process that is transformed and reconstituted through practice. This study emphasizes the need to strengthen teachers’ responsive observation and relational interpretive capacities and to support the sustained operation of learning communities institutionally and environmentally. By rethinking learning as a flow of co-creation within relationships, this research provides transformative implications for both early childhood educational practice and research.

목차

Ⅰ. 들어가며: 교사 배움을 다시 묻는다는 것
Ⅱ. 흔들림 속 이야기: 교사와 함께 탐구한 배움의 여정
Ⅲ. 살아 있는 교사의 배움이 흐르는 이야기들: 실천의 얽힘 속에서 생성된 교사됨
Ⅳ. 영유아-교사-언어-순간을 다시 바라보다: 논의와 맺음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현주(HyunJu Ryu),김경철(KyungChul Kim). (2025).정적인 전문성에서 살아 있는 배움으로: 얽힘 개념을 중심으로 한 교사 배움의 재구성. 영유아교육과정연구, 15 (4), 120-140

MLA

유현주(HyunJu Ryu),김경철(KyungChul Kim). "정적인 전문성에서 살아 있는 배움으로: 얽힘 개념을 중심으로 한 교사 배움의 재구성." 영유아교육과정연구, 15.4(2025): 120-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