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aternal and Household Determinants of Childcare Policy Preference among Households with One-Year-Old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 저자명
- 한지원(JiWon Han)
- 간행물 정보
- 『영유아교육과정연구』제15권 제4호, 55~6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 살 자녀를 둔 가구의 어머니 및 가구 특성이 육아지원정책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으로, 선호하는 보육 방식과 지원 유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영유아 교육·보육 패널 데이터중 2,499개의 가구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어머니 및 가구 특성이 육아지원정책 선호 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어머니의 학력, 연령, 취업 상태, 가구 소득 수준, 양육신념과 배우자의 양육 참여는 정책 선호에 있어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육아지원정책 선호도는 단일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부모 및 가구 특성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된다. 다양한 변수의 조합은 제도적 지원, 현금 급여 또는 재가 돌봄 정책에 대한 선호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사회경제적 여건뿐만 아니라 양육 신념과 같은 심리적 요인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보육 정책을 설계해야 하며, 다양한 가정의 요구에 맞춘 차별화되고 통합적인 정책 접근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how maternal and household characteristics influence childcare policy preferences in households with one-year-old children, focusing on both preferred childcare modes and support types. Using 2,499 household data from the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anel, this study applie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effects of maternal and household determinants on types of childcare policy preference. According to the results, mothers’ education, age, employment status, household income, parenting beliefs, and spouse’s parenting participation were important variables in policy preference. The results show that childcare policy preferences are not determined by a single factor, but are shaped by the interaction of multiple maternal and household characteristics. Distinct combinations of variables were associated with preferences for institutional support, cash benefits, or home-based care policies. The findings suggest that childcare policies should be designed based o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not only socioeconomic conditions but also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parenting beliefs, emphasizing the need for differentiated and integrated policy approaches tailored to the needs of diverse famil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유아교육과정연구 제15권 제4호 목차
- Merleau-Ponty의 ‘몸’ 현상학을 통해 본 유아의 그림책 읽기
- 유아 놀이를 바라보는 교사의 귀 기울이기 과정과 유아-교사 관계 탐구
- 1세 자녀 가구의 육아지원정책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및 가구 특성 분석
- 타자의 얼굴을 마주하는 다문화 교실: ‘불가능한 환대’ 윤리와 유아교육에의 함의
- 유아교육에서 디지털에 대한 존재론적 탐구: Yuk Hui의 기술철학을 중심으로
- 정적인 전문성에서 살아 있는 배움으로: 얽힘 개념을 중심으로 한 교사 배움의 재구성
- 텃밭활동의 생태적 ‘전환’: 만 3세 유아와 생태전환적 텃밭활동 만들기
-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어린이집 CCTV 설치·운영 관련 원장과 교사의 인식 및 요구 탐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