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bates and suggestions related to the diagnosis of nonverbal learning disorder(NVLD):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NVLD identified in previous stud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정민우(Min-Woo Jeong) 이대식(Daesik Lee)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7권 제3호, 177~20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비언어성 학습장애(NVLD)의 핵심 특성 및 이들과 관련된 각종 논쟁에 대해 확인하고, 학교와 임상 현장에서 이들을 선별 및 진단하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NVLD의 특성 및 진단과 관련된 쟁점을 다룬 수십 년 간의 문헌들을 종합 및 고찰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자들은 시공간 결함이 NVLD의 핵심 특성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대체로 동의해 왔다. 그러나, 이들을 자폐스펙트럼장애 혹은 ADHD와 구분하기 위해서는 실행 기능, 소근육 운동기능, 중앙응집기능, 사회적 기능 등 논쟁의 여지가 있는 특성들에 대해서도 확인해 보아야 한다. 둘째, NVLD의 핵심 특성에 대해 보다 명확하게 진단하기 위해서는 이들이 지닌 약점뿐만 아닌 강점도 함께 파악하여야 하며, 보편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선별 및 진단 검사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결론: 이러한 결과에 따라 NVLD를 다른 신경발달장애 범주와 구분하고 명확하게 진단하기 위해 연구 결과에서 제시된 시사점을 다시금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article focused on the main features of Nonverbal Learning Disorder(NVLD) and proposed methods for diagnosing the group in school and clinical settings. Method: Decades of previous research on identifying debatable features of NVLD and diagnosing them were reviewed and synthesized. Results: First, researchers agreed that visuospatial weakness was one of the main features of NVLD, although the other debatable aspects of this group, including executive function, fine motor skills, central cohesion, and social functioning, were also important in distinguishing NVLD from Autism Spectrum Disorder or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Second, when diagnosing core features of NVLD, identifying cognitive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developing universal screening and diagnostic tools will be crucial. Conclusion: The results were discussed again, focusing on differentiating NVLD from other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and future directions for their proper diagnosi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ethods for selecting previous literature dealing with NVLD
Ⅲ. Past attempts to identify features of NVLD
Ⅳ. The controversial features of NVLD
Ⅴ. Ways to diagnose NVLD in clinical or school settings
Ⅵ.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화책을 활용한 문해력 교수가 지적장애 학생의 이야기 작문 능력에 미치는 효과: 쓰기 수준별 변화 양상 분석
- 삶의 만족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 특수교육대상자 인권실태조사에 대한 인식: 특수교육 전문가, 특수교사, 보호자 의견을 중심으로
- 3D 이모티콘 감정 일기 쓰기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쓰기 능력 및 수업 행동에 미치는 효과
- 특수교사 수업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분석
- 특수학교 특수교사의 일상생활 활동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인식 및 지원 요구
- 비언어성 학습장애(NVLD)의 진단과 관련된 논쟁 및 제언: 선행연구에서 확인된 NVLD의 특성과 시사점
- 협력교수가 비장애학생에게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