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Co-Teaching on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정정환(Jeong-Hwan Jeong)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7권 제3호, 207~23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협력교수가 비장애학생에게 미치는 효과에 대한 전체 효과크기를 확인하고, 조절변인에 따른 조절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2000년 1월부터 2025년 3월까지 발표된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등재지 및 등재후보지)을 대상으로 PICOS 기준에 따라 문헌을 선정하였으며, 총 15편의 문헌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무선효과모형을 통해 산출된 전체 효과크기는 0.87로, 협력교수가 비장애학생에게 미치는 효과는 큰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효과크기의 이질성은 =75.8%(Q=120.00, df=29, p<.10)로 높은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조절변인을 분석한 결과 교과, 학교급, 실시 차시, 종속변인 유형이 이질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넷째, 출간오류 검증을 위해 Funnel plot, Egger’s 회귀분석, Trim-and-Fill, Fail-safe N 분석을 실시한 결과 일부 연구에서 출간오류가 관찰되었으나, 이는 전체 연구 결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정도는 아닌 것으로 판단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협력교수는 비장애학생에게 긍정적인 교육적 효과를 나타내는 교수학습방법임을 확인하였고, 교과, 차시, 학교급 등에 따라 그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overall effect size of co-teaching on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nd the influence of moderators. Method: For this purpose,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on 15 studies selected based on the PICOS criteria, including dissertations and journal articles (from accredited or candidate journals) published between January 2000 and March 2025. Result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calculated using a random-effects model was 0.87, indicating a large effect of co-teaching on non-disabled students. Second, the heterogeneity of effect sizes was found to be high, with I² = 75.8% (Q = 120.00, df = 29, p < .10). Third, the moderator analysis revealed that types of dependent variables such as subject area, school level, and number of session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heterogeneity. Fourth, publication bias was assessed using Funnel plot, Egger’s regression test, trim-and-fill, and fail-safe N analysis. Although some evidence of publication bias was found, it was not considered severe enough to affect the overall results. Conclusion: These findings confirm that co-teaching is an effective instructional strategy that has a positive educational impact on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nd that its effectiveness may vary depending on subject area, number of sessions, and school level.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화책을 활용한 문해력 교수가 지적장애 학생의 이야기 작문 능력에 미치는 효과: 쓰기 수준별 변화 양상 분석
- 삶의 만족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 특수교육대상자 인권실태조사에 대한 인식: 특수교육 전문가, 특수교사, 보호자 의견을 중심으로
- 3D 이모티콘 감정 일기 쓰기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쓰기 능력 및 수업 행동에 미치는 효과
- 특수교사 수업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분석
- 특수학교 특수교사의 일상생활 활동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인식 및 지원 요구
- 비언어성 학습장애(NVLD)의 진단과 관련된 논쟁 및 제언: 선행연구에서 확인된 NVLD의 특성과 시사점
- 협력교수가 비장애학생에게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참고문헌
-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 John Wiley & Son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 Hillsdale,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Hakjisa
- The Journal of Inclusive Education
-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 Korean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iy
-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 Educ. Sci.
- Education in the North
-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 Chungnam: Korea 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 Chungnam: Korea 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 Sejong: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 Special Education Research
-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 Intervention in School and Clinic
- 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 Psychological Bulletin
- Psychology in the Schools
-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 Special Education Research
-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 Educ. Res. Rev.
- New York: United Nations
-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 Global Education Review
- The Journal of Inclusive Education
-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 Doctoral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