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삶의 만족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Life Satisfaction Scale: A Focus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최희철(HeeCheol Choi)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27권 제3호, 35~72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삶의 만족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삶의 만족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내적 일치도, 개념 신뢰도, 확인적 요인분석, HTMT 비율(Heterotrait-Monotrait ratio), AVE, 상관계수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삶의 만족 척도는 높은 내적 일치도(α =.899)를 보였다. 그리고 개념신뢰도는 .872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삶의 만족 척도는 1요인 모형이 적합하였다. 1요인 모형에서 수렴타당도를 나타내는 표준화 요인계수는 모두 .50 이상이었고, AVE는 .545이었다. 판별타당도와 관련하여 삶의 만족 척도는 성별과 관계가 없었고, 법칙타당도와 관련하여 삶의 만족 척도는 그릿(흥미유지, 노력지속),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계수를 보였다. 준거타당도와 관련하여 삶의 만족 척도는 긍정적 정서, 직무만족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부정적 정서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에 기반하면 삶의 만족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focusing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Method: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analyses included internal consistency, construct reliabilit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the heterotrait-monotrait ratio (HTMT), average variance extracted (AVE), and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demonstrated high internal consistency (α = .899), and the construct reliability was .872. CFA supported a one-factor model as the best fitting structure. In this model, all standardized factor loadings exceeded .50, and the AVE was .545, indicating adequate convergent validity. Regarding discriminant validity, the scale showed no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gender. In terms of nomological validity, the scal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grit (interest and perseverance) and self-efficacy. For criterion-related validity, the scal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positive affect and job satisfaction,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negative affect.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appears to be a reliable and valid instrument for assessing life satisfaction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희철(HeeCheol Choi). (2025).삶의 만족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특수아동교육연구, 27 (3), 35-72

MLA

최희철(HeeCheol Choi). "삶의 만족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특수아동교육연구, 27.3(2025): 35-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