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erceptions of the Human Rights Survey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 Focusing on the Views of Special Education Experts, Teachers, and Parent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한송이(Song-yi Han) 이미숙(Misuk Lee)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7권 제3호, 73~9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육 전문가, 특수교사, 보호자를 대상으로 특수교육대상자 인권실태조사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향후 인권실태조사의 체계 및 조사 문항 개선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특수교사, 보호자, 관리자 등 19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FGI)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면담 자료는 지속적 비교 분석법을 활용해 주제별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은 인권실태조사의 연령 범위, 참여 대상, 조사 시기 및 방법, 문항 구성 등 다양한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인권 보호 및 인권침해 예방에 목적을 두고 조사의 정체성과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결론: 특수교육대상자의 인권 감수성과 특성을 반영한 문항 구성, 조사 방식 다양화, 결과 환류 체계 구축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experts, teachers, and parents regarding the Human Rights Survey for students eligible for special education and to explore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survey system and questionnaire items. Method: Focus Group Interviews(FGI) were conducted with 19 participants, including special education experts, teachers, and par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matically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Results: Participants recognized the need for improvements in various aspects of the survey, including the age range of participants, target groups, timing and method of administration, and questionnaire design. The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larifying the survey’s purpose and identity and enhancing its effectiveness regarding human rights protection and the prevention of rights violations. Conclusion: The study discussed the need to develop survey items that reflect both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to diversify survey methods, and to establish a feedback system for the effective use of survey resul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화책을 활용한 문해력 교수가 지적장애 학생의 이야기 작문 능력에 미치는 효과: 쓰기 수준별 변화 양상 분석
- 삶의 만족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 특수교육대상자 인권실태조사에 대한 인식: 특수교육 전문가, 특수교사, 보호자 의견을 중심으로
- 3D 이모티콘 감정 일기 쓰기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쓰기 능력 및 수업 행동에 미치는 효과
- 특수교사 수업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분석
- 특수학교 특수교사의 일상생활 활동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인식 및 지원 요구
- 비언어성 학습장애(NVLD)의 진단과 관련된 논쟁 및 제언: 선행연구에서 확인된 NVLD의 특성과 시사점
- 협력교수가 비장애학생에게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