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Awareness and Support Needs Regarding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Daily Life Activities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동인(Dong-In Kim) 정은희(Eun-Hee Jeong)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7권 제3호, 153~17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학교 특수교사의 일상생활 활동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인식과 지원 요구를 알아본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전라남도 9개 특수학교의 특수교사 115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일상생활 활동 교육과정 편성·운영에서 일상생활 활동의 시수와 영역은 학교급에 따라 편성이 달라질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학급 운영은 영역에 따라 단위 학급별로 운영하거나 이동 수업이 적절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수·학습 및 평가는 ‘반복과 지속’이 중요하고 교사의 전문성으로 학생 수준에 따라 가르칠 내용을 선정할 수 있으며, 영역별 지도를 위한 전문성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지원 요구로 현장 안착을 위해 학교 교육과정 수준에서 일상생활 활동 편성·운영을 위한 매뉴얼에 대한 요구가 높았고 영역별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학교 특수교사의 일상생활 활동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인식과 지원 요구를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wareness and support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regarding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daily life activities curriculum. Method: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115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nine special education schools in Jeollanam-do. Results: First, in organizing and operating the curriculum for daily life activities, it was recognized that the number of hours and content areas of daily life activities could be organiz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chool level. It was recognized that class operation in each area could be appropriately conducted either through individual classes or by rotating students between classes. Also, repetition and continuation were important for teaching, learning, evaluating, and teachers, using their expertise, could select the content to be taught based on student ability. It was recognized that area-specific instruction requires specialized knowledge. Second, there was a high demand for a manual regarding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daily life activities at the school curriculum level to facilitate on-site settlement due to support needs, as well as instructional materials tailored to each content area.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awareness and support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regarding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daily life activities curriculum.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화책을 활용한 문해력 교수가 지적장애 학생의 이야기 작문 능력에 미치는 효과: 쓰기 수준별 변화 양상 분석
- 삶의 만족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 특수교육대상자 인권실태조사에 대한 인식: 특수교육 전문가, 특수교사, 보호자 의견을 중심으로
- 3D 이모티콘 감정 일기 쓰기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쓰기 능력 및 수업 행동에 미치는 효과
- 특수교사 수업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분석
- 특수학교 특수교사의 일상생활 활동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인식 및 지원 요구
- 비언어성 학습장애(NVLD)의 진단과 관련된 논쟁 및 제언: 선행연구에서 확인된 NVLD의 특성과 시사점
- 협력교수가 비장애학생에게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