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화책을 활용한 문해력 교수가 지적장애 학생의 이야기 작문 능력에 미치는 효과: 쓰기 수준별 변화 양상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s of Literacy Instruction Through Storybook Reading on the Narrative Writing Skill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alyses of Growth by Writing Proficiency Level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안솔(Sol Ahn) 김우리(Woori Kim)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27권 제3호, 1~33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동화책을 활용한 문해력 교수가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이야기 작문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성취 수준에 따른 중재 효과의 차이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지적장애 학생 11명을 대상으로 단일 집단 사전-사후 검사 설계를 적용하였다. 중재는 동화책을 읽고, 읽은 내용을 말로 표현한 뒤 글로 작성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구성되었다. 종속변인은 이야기 작문 능력으로, 양적 지표와 질적 지표를 통해 측정하였다. 또한, 군집분석을 통해 학생들을 시작 집단과 성장 집단으로 구분하고, 각 집단의 중재 전후 작문 변화 양상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재는 지적장애 학생들의 작문 양과 질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었다. 시작 집단은 작문의 양과 질이 모두 향상되었으며, 특히 글의 양, 어휘 다양도, 글의 내용 측면에서 높은 향상을 보였다. 성장 집단은 작문의 질적 측면에서 향상을 보였으며, 특히 글의 표현력과 응집성에서 높은 향상을 보였다. 결론: 동화책 읽기를 활용한 문해력 교수는 지적장애 학생들의 이야기 작문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며, 학생 개별의 작문 수준과 요구에 따라 차별화된 작문 전략의 적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literacy instruction through storybook reading on the narrative writing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intervention effects based on students’ writing proficiency levels. Method: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employed with 11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intervention consisted of a series of activities―reading a storybook, verbally expressing the story, and writing it down. The dependent variable was each student’s narrative writing skills, which was measured us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dicators. In addition,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emerging and developing proficiency groups through cluster analysis, and the changes in writing performance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were compared and analyzed for each group. Results: The intervention was effective in improving both the quantity and quality of writing among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emerging group showed improvement in both aspects, with particularly notable gains in writing length, vocabulary diversity, and relevance to the topic. The developing group showed improvement primarily in the qualitative aspects of writing, especially in expression (vocabulary and sentence fluency) and cohesion. Conclusion: Literacy instruction through storybook reading was effective in enhancing narrative writing skills among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uggesting the need for differentiated writing strategies tailored to their writing proficiency levels and individual need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솔(Sol Ahn),김우리(Woori Kim). (2025).동화책을 활용한 문해력 교수가 지적장애 학생의 이야기 작문 능력에 미치는 효과: 쓰기 수준별 변화 양상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27 (3), 1-33

MLA

안솔(Sol Ahn),김우리(Woori Kim). "동화책을 활용한 문해력 교수가 지적장애 학생의 이야기 작문 능력에 미치는 효과: 쓰기 수준별 변화 양상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27.3(2025): 1-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