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 자기조절력의 관계에서 어머니 정서표현성의 병렬이중매개효과

이용수  0

영문명
The Parallel Double Mediation Effects of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arenting Stress &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발행기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김진향(Jinhyang Kim) 이희영(Heeyeong Lee) 이지경(Jikyung Lee)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제26권 제3호, 603~63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과 이 관계에서 어머니의 긍정적·부정적 정서표현성의 매개 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최근 유아 교육 현장에서 유아 자기조절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고, 이에 대한 영향 변인으로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주목받아 왔는데, 최근에는 이들 두 변인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인을 탐색하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기존 연구가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을 통합된 단일 변수로 다룬 데 반해, 본 연구는 긍정적·부정적 정서표현성을 구분하여 각각의 매개효과를 독립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와 차별화된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부산 및 경기 지역 유치원·어린이집 재원 만 3-5세 유아의 어머니 25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온라인 링크를 통해 614부가 배포되었고, 그중 257부가 회수되는 41.8%의 회수율로 257부가 최종 본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 와 Hayes(2013)의 PROCESS macro 4.2를 활용하여 상관관계 및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양육 스트레스는 유아 자기조절력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긍정적 정서표현성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반면 부정적 정서표현성은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의 기대효과는 정서표현성의 영향을 유형별로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부모교육 및 정책 설계에 실천적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의 자기조절력 향상을 위한 가정 기반 개입 전략 수립을 시도해 볼 수 있다.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마무리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on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to analyze the mediating roles of mothers'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is relationship. The importance of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has been increasingly emphasiz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Among the various influencing factors, maternal parenting stress has garnered considerable attention. Research efforts have begun to explore potential mediating variables that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constructs. Studies have typically treated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s a single integrated variable. However, this study distinguishes itself by independently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57 mothers of children aged 3 to 5 attending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Busan and Gyeonggi Provinc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4 and Hayes’ (2013) PROCESS macro version 4.2 to examine correlations and mediating effects. Parenting stres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hildren’s self-regulation.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whereas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did not demonstrate a significant mediating role. By separately analyzing the influence of emotional expressiveness types, this study offers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parenting education and policy. It also contributes to the establishment of home-based intervention strategies aimed at enhancing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진향(Jinhyang Kim),이희영(Heeyeong Lee),이지경(Jikyung Lee). (2025).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 자기조절력의 관계에서 어머니 정서표현성의 병렬이중매개효과. 인문사회과학연구, 26 (3), 603-630

MLA

김진향(Jinhyang Kim),이희영(Heeyeong Lee),이지경(Jikyung Lee).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 자기조절력의 관계에서 어머니 정서표현성의 병렬이중매개효과." 인문사회과학연구, 26.3(2025): 603-6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