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Marine Education, as Seen Through the Marine Education Network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김희경(Heegyeong Kim) 김태만(Taeman Kim)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26권 제3호, 57~8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6년 해양수산부 주도하에 출범한 해양교육네트워크의 협의체 구성과 운영 현황을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해양교육 활성화를 위한 주요 과제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수행을 위해 2022년 초까지 해양교육네트워크 사무국 역할을 수행했던 국립해양박물관을 비롯하여 참여기관 간 해양교육 및 해양문화 확산을 위한 협업 추진 현황을 세부적으로 검토하였다. 특히 해양교육네트워크 교육 프로그램 운영과 해양교육콘텐츠 공동 개발 및 활용 사례를 통해 네트워크 내·외부의 협력 구조와 실행 과정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해양교육네트워크는 참여기관 교육담당자들과의 긴밀한 협조 및 절차 이행을 통해 해양교육콘텐츠의 질적·양적 확대, 공교육과의 연계 강화, 지역사회와의 협력 기반 구축 등에서 해양교육 내실화에 기여하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이러한 네트워크 기반 협력의 파트너십 구조와 실천 중심의 운영 방식은 참여기관이 보유한 해양문화자원을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동기를 제공함과 동시에 해양교육 전반에 걸쳐 긍정적인 발전 효과를 견인하였다. 해양교육의 사회적·교육적 가치를 증대하고 확산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의 결속력과 연대성 강화가 필수적인 요인임이 진단되었다. 아울러 해양교육 활성화를 위해 해양교육네트워크는 해양교육을 매개로 한 공감대 형성과 교류·협력 환경 조성, 해양교육 공공성 확대, 전문 인력 양성 및 활동 지원 플랫폼 구축 등 다양한 정책적·실천적 전략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또한 네트워크 내 정책적 연계와 실행의 적합성, 모니터링 및 환류 시스템 구축의 지속적 관리 중요성도 강조하였다. 수도권과 동·서·남해권역에 위치한 각 거점기관들은 기관별 정체성을 반영한 해양역사·문화, 해양수산, 해양과학, 해양생물, 해양환경 분야의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해양문화 인식 확산에 긍정적인 성과를 이끌어 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거점기관 중심의 해양교육네트워크 역할 확대를 통해 지역사회와 공교육 간 협력 모델을 심화하고 국내 해양교육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의의를 둔다. 최종적으로 해양교육 및 해양문화 확산을 위한 네트워크 기반 협력의 필요성과 실행 과제 그리고 지속가능한 해양교육 추진 체제 확립 방안을 다각적으로 조명함으로써 해양문화자원의 교육적 활용과 해양교육 발전 모델 구축을 위한 기반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ystematically examines the structure and operational status of the Marine Education Network, launched in 2016 under the leadership of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nd aims to identify key tasks for vitalizing marine education. To this end, a detailed review of the collaborative efforts among participating institutions was conducted, including the National Maritime Museum, which served as the network's secretariat until early 2022. The research focused on the internal and external cooperation structures and implementation processes, highlighting case studies of jointly developed and utilized marine education programs and content.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Marine Education Network has made practical contributions to strengthening marine education through close collaboration and procedural implementation with education officials from member institutions. This includes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xpansion of marine education content, stronger ties with public educ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a foundation for cooperation with local communities. This network-based partnership structure and practice-oriented operational approach not only motivated participating institutions to utilize their marine cultural resources for educational purposes but also drove positive developmental outcomes across the entire field of marine education. The study identifies that strengthening the network's cohesion and solidarity is an essential factor for enhancing and disseminating the social and educational value of marine education.
Furthermore, to vitalize marine education, the network suggests various policy and practical strategies, such as forming a consensus and fostering an environment for exchange and cooperation, expanding the public nature of marine education, and establishing a platform for training and supporting professionals. The importance of continuous management of policy relevance, implement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evaluation and feedback systems within the network was also emphasized. It was found that hub institutions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 East, West, and South Sea regions are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Korea's marine culture by operating diverse educational programs that reflect their unique institutional identities in fields like marine history, fisheries, marine science, marine biology, and marine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for deepening the collaboration model between local communities and public education and for providing strategic directions for the vitalization of domestic marine education by expanding the role of the hub- institution-centric Marine Education Network. Ultimately, by highlighting the necessity of network-based cooperation, various implementation tasks, and strategies for establishing a sustainable marine education system,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serve as a foundational resource for the educational utilization of marine cultural resources and the development of a marine education model.
목차
Ⅰ. 머리말
Ⅱ. 해양교육네트워크 운영 현황
Ⅲ. 해양교육네트워크 교류·협력을 통한 해양교육 활성화 과제
Ⅳ.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철학교육에서의 도덕 판단 구성과 반성적 평형: 직관의 역할 재검토
- 중국기독교 신학교육의 재구조화와 전망
- 해양교육네트워크로 보는 해양교육 현황과 과제
- 토마스 아퀴나스의 인간론에 근거한 죽음 이후의 인간의 상태연구
- 관우, 관제, 관푸치노 - 가치관 전환시대의 고전읽기
- 에도시대 무사(武士)의 부업(副業)과 장인(匠人)정신의 상관관계 연구(2) - 고케닌(御家人)의 부업을 중심으로
- 식민지 조선의 ‘대극장’ 건설론 - 1930년대 재경성 일본인들의 비전과 미완의 시도
-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중국어 “幫+NP+VP” 구문의 실제적 연구
- 『취분운략(聚分韻略)』제본(諸本)에 걸친 경섭(梗攝)의 자음형(字音形)에 대하여
- 『표준국어대사전』기반 독일어계 외래어의 형태 변화와 품사 분포에 대한 계량적 분석
- 한국어와 키르기스어의 보조동사 인식 및 사용 양상 - ‘-어 버리다’와 ‘-어 보다’를 중심으로
- 한국·일본·베트남한자음 자음형의 창출요인에 관한 연구 - 최적성이론을 적용한 타국 한자음과의 비교를 통하여(齒上音)
- 정서적 긴장과 신뢰: 신뢰의 부정적 효과와 역설
- 산업별 고용 중기 전망의 예측오차 영향요인 분석
- 산업재해예방의 정책수단 실효성
- 2025년 한일 첫 정상회담 뉴스 영상에 대한 한·일 댓글 분석연구 - 정당화 전략을 중심으로
- 2025년 마크롱 대통령 담화에 나타난 프랑스와 아프리카의 관계 변화 양상 연구 - 서아프리카를 중심으로
- 부산 시민의 내향적 국제화 인식 개선 방안: 국제화 인식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 뉴스 기사를 통한 미국 다문화 리터러시 주제 구조 탐색: BERTopic 기반 분석
- 조직정치지각이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재중 한국기업의 중국 현지 종업원을 대상으로
- 우레이(Wu Lei) 읽기: 한국 미디어가 보도/재현하는 양상과 방식의 한국적 의미
- 대학생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역량 및 진로태도성숙의 매개효과
-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 자기조절력의 관계에서 어머니 정서표현성의 병렬이중매개효과
- 외국인 유학생의 교육관광 만족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 A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활자 노출 빈도와 단어 재인 시 음운 활성화 강화와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AI)과 윤리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