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취분운략(聚分韻略)』제본(諸本)에 걸친 경섭(梗攝)의 자음형(字音形)에 대하여

이용수  0

영문명
Kana Notations of the Rhyme Group Geng(梗) in Various Editions of the Shyubun-Inryaku
발행기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안동니(Dongni An) 이경철(Kyongchul Lee)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제26권 제3호, 201~233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취분운략』 4개본의 경섭운에 나타나는 자음형(字音形)에 대해 한음·오음자료와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개구2등 경(耕)운과 경(庚)운은 4개본에서 기본적으로 -au/-aku형과 -jou(-jau)/-jaku형으로 출현하며, 일부 -ei/-eki형도 존재하는데, -jau/-jaku형은 오음으로, -au/-aku형 및 -ei/-eki형은 한음으로 규정할 수 있다. 2) 합구2등 경(耕)운과 경(庚)운은 4개본에서 대부분 -wau/-waku형으로 나타나지만, 일부 -au/-aku형과 -ei형이 혼재하고 있다. 4개본 모두 전체적으로 한음 주기를 원칙으로 하고 있으나, 아후음자를 ワ행으로 반영한 갑(匣)모의 [ワウ橫橫横]는 오음으로 분류할 수 있다. 3) 개구3등 경(庚)운 및 청(淸)운, 개구4등 청(靑)운은 4개본에서 기본적으로 -ei/-eki형과 -jau/-jaku형이 혼재하고 있는데, -jau/-jaku형은 오음으로, -ei/-eki형은 한음으로 볼 수 있다. 단지 -ei/-eki형인 한음의 비율이 높다고 할 수 있다. 4)합구3등 경(庚)운 및 청(淸)운, 합구4등 청(靑)운은 4개본에서 주로 -ei/-eki형, -wei/-weki형으로 출현하며, 일부 -wijau/-wujaku형, -jau/-jaku형이 혼재하고 있는데, -ei/-eki형과 -wei/-weki형은 한음으로, -wijau/-wujaku형, -jau/-jaku형은 오음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한음 주기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일부 오음이 혼입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5)경섭운의 전반적인 경향은『취분운략』 제본들 사이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대체로 漢音注記를 원칙으로 한다. 그러나 吳音이 혼입된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이 나타난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the phonetic types found in the Geng(梗) rhyme across the four editions of Shyubun-Inryaku a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Kan’on and Go’on sources.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second open rhyme Geng(耕) and Geng(庚) primarily appear in -au/-aku and -jou(-jau)/-jaku types, with some instances of -ei/-eki types. The -jau/-jaku types are classifiable as Go’on, while the -au/-aku and -ei/-eki types are classifiable as Kan’on. The second rounded rhyme Geng(耕) and Geng(庚) appear mostly in -wau/-waku types, with a few instances of -au/-aku and -ei types. While the overall entries follow Kan’on annotation principles, [ワウ] in Xia(匣), which reflects a voiced character in the Wa row, is classifiable as Go’on The third open rhyme Geng(庚) and Qing(淸), and the fourth open rhyme Qing(靑), appear in a mixture of -ei/-eki and -jau/-jaku types. The -jau/-jaku types are classifiable as Go’on, and the -ei/-eki types as Kan’on. Among these, Kan’on types are observed more frequently. The third rounded rhyme Geng(庚) and Qing(淸), and the fourth rounded rhyme Qing(靑), appear mainly in -ei/-eki and -wei/weki types, with some instances of -wijau/-wujaku and -jau/-jaku types. Overall, the data follows Kan’on annotation principles, though some Go’on types are also observed. Overall tendencies across the Geng(梗) rhyme group in all four editions of Shubun-Inryaku show little variation, with most entries based on Kan’on annotation principles. However, more frequent instances of Go’on mixing are observed than in other rhyme groups

목차

Ⅰ. 서론
Ⅱ. 개구2등 경(耕)운
Ⅲ. 개구2등 경(庚)운
Ⅳ. 합구2등 경(耕)운
Ⅴ. 합구2등 경(庚)운
Ⅵ. 개구3등 경(庚)운
Ⅶ. 개구3등 청(淸)운
Ⅷ. 개口4등 청(靑)운
Ⅸ. 합구3등 경(庚)운
Ⅹ. 합구3등 청(淸)운 Ⅺ. 합구4등 청(靑)운 Ⅻ.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동니(Dongni An),이경철(Kyongchul Lee). (2025).『취분운략(聚分韻略)』제본(諸本)에 걸친 경섭(梗攝)의 자음형(字音形)에 대하여. 인문사회과학연구, 26 (3), 201-233

MLA

안동니(Dongni An),이경철(Kyongchul Lee). "『취분운략(聚分韻略)』제본(諸本)에 걸친 경섭(梗攝)의 자음형(字音形)에 대하여." 인문사회과학연구, 26.3(2025): 201-2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