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토마스 아퀴나스의 인간론에 근거한 죽음 이후의 인간의 상태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Posthumous State of Human Existence Based on Thomas Aquinas’s Anthropology
발행기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김성민(Sungmin Kim)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제26권 제3호, 81~10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토마스 아퀴나스의 인간론에 근거하여, 죽음 이후 개별 인간 존재의 연속성과 그 본질적 한계, 그리고 종말론적 완전성에 대한 신학적 전망을 고찰한다. 아퀴나스는 인간을 단순히 두 실체의 결합이 아닌, 육체와 영혼이 하나로 통합된 실체적 단일체(substantia una)로 이해하였으며, 이러한 통합적 존재는 신의 창조 질서 속에서 형성되고 목적을 지닌다고 보았다. 그러나 죽음을 통해 육체와 영혼이 분리되면, 인간은 더 이상 본래의 완전한 인격체로 존재할 수 없게 되며, 이 상태는 ‘불완전한 존재’로 간주된다. 아퀴나스에 따르면, 사후에도 영혼은 지성과 의지라는 고유 능력을 통해 개별적 동일성을 어느 정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동일성은 감각적 상호작용, 윤리적 책임성, 공동체적 관계성 등의 전인격적 기능이 결여된 상태로 제한된다. 즉, 영혼은 존재론적으로 독립적으로 존속할 수는 있지만, 실질적·인격적 완전성은 상실된 상태에 머무르게 된다. 아퀴나스는 이러한 결핍이 오직 부활을 통해 회복될 수 있다고 보았으며, 부활체는 본래의 육체성과 연속되면서도, 변형된 형질을 지닌 종말론적 실재로서 새로운 인간 존재의 온전성을 실현한다. 이는 예수의 부활체에 대한 신학적 전거와 연결되며, 인간 존재의 완성은 단순한 재구성이 아니라 육체의 회복과 변형을 통한 존재론적 갱신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아퀴나스의 인간론은 사후 존재의 ‘불완전한 연속성’과 종말론적 완성을 긴장 속에서 함께 사유함으로써, 전통적인 영혼불멸 사상과 몸의 부활 교리를 상호 보완적으로 통합하려는 신학적 모델을 제공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구조를 바탕으로, 사후 인간 상태에 대한 존재론적 이해와 부활의 의미를 연결함으로써, 기독교 인간 이해의 정합성과 심화된 인간존재 완성의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continuity and limitations of postmortem human existence, as well as the eschatological vision of perfected humanity, based on the anthropological framework of Thomas Aquinas. Aquinas does not conceive the human being as a mere conjunction of two substances, but rather as a unified substantial whole(substantia una) composed of body and soul, established within the order of divine creation. Upon death, the separation of soul and body results in the loss of human completeness, rendering the soul a “partial” or “incomplete” person. According to Aquinas, the soul retains a degree of personal identity after death through its intellectual and volitional capacities. Yet this identity remains limited, lacking full personal integrity—specifically in relation to sensory interaction, moral agency, and communal relatedness. Thus, while the soul subsists ontologically, it remains existentially incomplete. Aquinas holds that such deficiency can only be restored through bodily resurrection, in which the risen body, while continuous with the earthly body, assumes transformed characteristics. This transformation points to an eschatological reality exemplified by the risen body of Christ, and underscores that human perfection entails not mere reconstitution but ontological renewal through bodily restoration. Aquinas’s anthropology thus presents a theological model that seeks to reconcile the immortality of the soul and the resurrection of the body, holding both in constructive tension. By reexamining the ontological implications of the intermediate state and integrating them with the eschatological promise of resurrection, this study proposes a coherent Christian understanding of human identity—one that affirms both the continuity of the person and the ultimate fulfillment of human existence in its full bodily-spiritual integrity.

목차

Ⅰ. 서론
Ⅱ. 인간에 대한 이해
Ⅲ. 죽음에 대한 이해
Ⅳ. 토마스 아퀴나스의 논쟁점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성민(Sungmin Kim). (2025).토마스 아퀴나스의 인간론에 근거한 죽음 이후의 인간의 상태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26 (3), 81-104

MLA

김성민(Sungmin Kim). "토마스 아퀴나스의 인간론에 근거한 죽음 이후의 인간의 상태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26.3(2025): 81-1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