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thinking Anglican Identity as Communion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저자명
- 노철래(Chul-Lai Ro)
- 간행물 정보
- 『신학사상』210집(2025년 가을호), 403~42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세계 성공회 공동체 내의 고정적이고 부족주의적인 사고와 실천이 공동체의 분열을 획책하는 주된 원인임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대안적인 신학적 접근을 제안한다. 동성애를 비롯한 논쟁적 사안들과 관련한 고정적이고 이원적인 사고는 교회들 뿐만 아니라 교회의 구성원들 간의 걸림돌이 되어 왔다. 본 논문은 이러한 사고가 삼위일체 하느님의 본질인 상호내주, 자기희생적 수용, 역동적 관계성과의 연결을 단절시키고 그에 따라 성공회의 정체성을 훼손해 왔다는 것을 밝힌다. 따라서 본 논문은 삼위일체 하느님의 상호침투적 관계성에 기초한 ‘역동적이고 관계적인 사고(dynamic and relational thinking)’를 성공회 정체성의 신학적 기초로 제시하고자 한다, 나아가, 현재 교착상태에 빠진 세계 성공회 공동체의 갈등을 치유하고 화해로 나아가기 위한 신학적 대화의 틀을 재구성 하고자 한다. 성공회 정체성의 본질을 ‘커뮤니언’으로 재정의함으로써, 오늘날 교회 분열의 현실 속에서 다양성 속에서의 일치라는 삼위일체 신학의 근본 정신을 어떻게 구현할 수 있는지 탐색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points out that static and tribal thinking and polity within the Anglican Communion are the main causes of the divisions of the Communion, and proposes an alternative theological approach to address this issue. Static and dualistic thinking on controversial issues including homosexuality has often created barriers, not only between churches but also among its members. This paper shows that such thinking has severed the connection from the true meaning of the Trinity: mutual indwelling, self-giving and receiving, and dynamic relationships, and has thus damaged the Anglican Identity.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present ‘dynamic and relational thinking’ based on the reciprocal permeable relationship of the Trinity as the theological foundation of Anglican Identity. Furthermore, it seeks to reconstruct the framework of theological dialogue to heal the conflicts from the current deadlock within the global Anglican Communion and to reconcile the divisions. By redefining the essence of Anglican identity as ‘communion’, the paper seeks to explore how the core spirit of Trinitarian Theology, the unity in diversity, can be embodied within today’s division of church.
목차
Ⅰ. 서론
Ⅱ. 세계 성공회 공동체의 위기의 핵심
Ⅲ. 일치와 권위에 관한 성공회의 이해
Ⅳ. 결론: 커뮤니언으로서의 성공회 정체성 재정립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학사상 210집(2025년 가을호) 목차
- 숨밭 김경재의 성령 이해 - 『성령론』(1997) 강의를 중심으로
- 숨밭 김경재의 ‘대승적 민중신학’ - 민중신학 50년에 대한 회고와 오늘의 민중신학을 향한 제언
- 김경재의 폴 틸리히 신론 해석 - 동아시아 그리스도인의 맥락에서
- 바라봄과 구원 - 불뱀 사건(민 21:4-9) 다시 읽기
- 역대기 저자의 역사 재구성과 신학 - 역대상 6장 레위인 족보를 중심으로
- 자기확장적 이타성을 지향하는 ‘συνείδησις’ - 고린도전후서와 로마서를 중심으로
- 사도행전의 갈릴리인 이해 - 그 묘사의 성격과 의도를 중심으로
- 존 번연의 『천로역정』에서 크리스천의 종교적 경험의 성격 연구 - 마르틴 루터의 『갈라디아서 강의』에 나타난 종교 경험과의 비교
- 혐오의 신경인문학 - 혐오를 넘어 연민으로
- 초국적(transnational)지대의 여성들 - 기지촌 지역에서의 빈곤과 성(性)의 인종화
- 말해지지 않는 고통 - 비인간종의 한(恨)과 정동신학
- 디지털 공간과 온라인 예배에 대한 비판적 성찰 - 매개로서의 종교(religion as medium)를 중심으로
- 커뮤니언(communion)으로서 성공회 정체성 다시 보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신학사상 210집(2025년 가을호) 목차
- 숨밭 김경재의 성령 이해 - 『성령론』(1997) 강의를 중심으로
- 숨밭 김경재의 ‘대승적 민중신학’ - 민중신학 50년에 대한 회고와 오늘의 민중신학을 향한 제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