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김경재의 폴 틸리히 신론 해석 - 동아시아 그리스도인의 맥락에서

이용수  3

영문명
Kim Kyoung Jae’s Interpretation of Paul Tillich’s Doctrine of God: In the Context of East Asian Christianity
발행기관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저자명
이민애(Min-Ai Lee)
간행물 정보
『신학사상』210집(2025년 가을호), 71~9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독교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숨밭 김경재가 폴 틸리히의 신론을 수용하고 해석하는 과정과 내용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김경재는 틸리히 신론을 일방적으로 수용하지 않고 주체적으로 대화하고 응답하며 해석한다. 해석의 과정은 김경재 안의 두 정체성에 따라 수행된다. 하나는 그리스도인으로서이고 다른 하나는 동아시아 한국의 전통 안에 있는 그리스도인으로서이다. 틸리히의 신관은 그 철학적이고 존재론적인 형식과 내용으로 인하여 성서의 하나님과 합치가 되는가 라는 논쟁점을 가지고 있는데, 김경재는 틸리히의 신관을 성서의 맥락에서 수용한다. 이에 그는 ‘존재 자체’ (being-itself)를 성서 본문과 연결짓는 시도를 한다. 한편으로 김경재는 동양의 한국인이자 그리스도인으로서 동양 사상 안에서 ‘존재 자체’에 상응하는 개념 찾기를 시도한다. 모든 존재하는 것들의 근거이자 힘이 되는 존재 자체와 그 개념이 비기독교 문화권에서도 존재할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김경재는 동양의 도(道) 사상을 ‘존재 자체’와 잇기를 시도한다. 김경재는 틸리히 신론 해석의 작업을 통하여 그리스도교의 신앙과 동양 사상 사이의 공명 지점을 예리한 통찰로 짚어내나, 환원시키거나 혼합하지는 않는다. 그는 성서와 동양 사상 사이의 차이점을 분명하게 진술한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process and content of Soombat Kim Kyoung Jae's reception and interpretation of Paul Tillich's doctrine of God. Kim Kyoung Jae subjectively discusses Tillich’s doctrine of God, responds to it, and interprets it, instead of uncritically accepting it. This engagement progresses according to two identities held dear: one as a Christian and the other as a Christian rooted in the traditions of Korea in East Asia. Questions have been asked of Tillich's doctrine of God, whether its philosophical and ontological approach aligns with the God of the Bible. However, Kim Kyoung Jae accepts Tillich's doctrine of God within the Bible. Furthermore, Kim Kyoung Jae attempted to connect biblical passages identifyin God with ‘being-itself.’ Kim Kyoung Jae also comparatively explored the concept of ‘being-itself’ within Eastern thought as a Korean Christian because being-itself, the ground and power of all beings, also exists in non-Christian cultural regions. Kim Kyoung Jae attempted to connect Eastern Taoist thought with being-itself. As shown, Kim Kyoung Jae identifies points of resonance between Christian faith and Eastern thought with sharp insight, yet he neither reduces nor blends them. He clearly show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Bible and Eastern thought.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존재 자체’를 성서의 하나님으로 수용
Ⅲ. ‘존재 자체’를 동아시아-한국 맥락에서 해석
Ⅳ.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민애(Min-Ai Lee). (2025).김경재의 폴 틸리히 신론 해석 - 동아시아 그리스도인의 맥락에서. 신학사상, (), 71-98

MLA

이민애(Min-Ai Lee). "김경재의 폴 틸리히 신론 해석 - 동아시아 그리스도인의 맥락에서." 신학사상, (2025): 71-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