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Unspoken Suffering : The Han of Nonhuman Beings and Affective Theology : A New Response in the Age of Climate Crisis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저자명
- 홍임수(Im-Soo Hong)
- 간행물 정보
- 『신학사상』210집(2025년 가을호), 333~366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기후위기로 인한 비인간종의 고통을 마주하기 위한 신학적 시도의 결과다. 세상의 고통을 ‘죄’의 관점에서 접근해 온 전통 기독교 신학은 억압자·가해자의 회개와 구원에 초점을 맞춘 신학 체계를 형성했다. 이로 인해, 피해자의 구체적 고통은 부차적인 사안으로 치부되었고, 그들의 고통을 담아낼 신학적 개념은 부재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민중신학은 한(恨)의 개념을 도입했다. 한은 피해의 직접적 당사자인 민중의 고통을 표현하는 응축된 감정이자, 정서다. 한의 신학적 도입은 민중의 고통을 신학의 중심에 놓으려는 급진적 변화의 시도였다. 그러나 민중신학의 한 개념은 문학적 서사에 기초한 인간의 감정에 제한되었으며, 그 대응 역시 ‘대언’이라는 언어 상징적 체계를 넘어서지 못한다는 한계를 보인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을 정동의 측면으로 재해석하여 비인간종의 고통을 마주할 수 있는 신학적 개념을 구축하고자 했다. 인지적 정의와 언어적 표상을 넘어서는 감응의 에너지로서의 정동은, 비인간종의 고통을 언어적 대변 없이 직접적으로 마주할 통로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정동의 페이션시(patiency)를 통해 비인간 존재의 감수가 단지 수동적 피해에 그치지 않고, 현재의 세계에 작용하는 힘으로 이해될 수 있음을 논증하였다. 비인간종의 고통은 기후위기를 극복할 윤리적 요청이자, 변화의 힘으로 재해석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레비나스의 얼굴 개념을 확장하여, 형태와 언어를 지니지 못한 비인간종의 침묵과 마주하는 신학적 감응의 윤리를 모색했다. 이는 기후위기로 인한 멸종과 소멸의 위기 앞에서 신학이 응답해야 할 새로운 과제이자, 비인간종의 고통에 대한 신학적 책임을 성찰하는 시도로서의 의의를 가진다. 이제 신학은 ‘한의 정동’으로 오시는 하나님과 마주하는 시대적 책임을 감당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he result of a theological attempt to engage with the suffering of non-human beings caused by the climate crisis. Traditional Christian theology has approached the suffering of the world primarily from the perspective of “sin,” forming a theological framework centered on the repentance and salvation of oppressors and perpetrators. Consequently, the concrete pain of victims has been relegated to a secondary issue, lacking theological concepts capable of encompassing their experience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Minjung theology introduced the notion of han(恨). Han is an intense, condensed emotion that expresses the suffering of the people directly subjected to harm, and its theological adoption was a radical attempt to center their pain within theology. However, the concept of han in Minjung theology remained confined to the human sphere, grounded in literary narratives and symbolic representation, which did not transcend the limitations of “speaking for” through language. Therefore, this paper seeks to reinterpret han in terms of affect, to develop a theological framework capable of responding to the suffering of non-human beings. As an energy of resonance that exceeds cognitive understanding and linguistic representation, affect provides a way to encounter the suffering of non-human life without relying on verbal mediation. Furthermore, through the concept of patiency, this study argues that the affective receptivity of non-human beings should not be seen merely as passive victimhood but as an active force shaping the present world. The suffering of non-human beings needs to be reinterpreted as both an ethical demand and a transformative power that challenges humanity to respond to the climate crisis. Finally, this paper extends Emmanuel Levinas’s concept of the “face” to explore a theological ethic of affective attunement that engages the silent presence of non-human beings who lack form and language. This approach constitutes a new task for theology in the face of extinction and collapse and serves as a reflective endeavor to acknowledge the theological responsibility toward their suffering. Ultimately, theology must bear the historical responsibility of encountering God who comes in the affect of han.
목차
Ⅰ. 서론
Ⅱ. 한(恨) ― 침묵된 고통의 언어
Ⅲ. 정동과 한(恨) — 언어 없는 고통의 신학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학사상 210집(2025년 가을호) 목차
- 숨밭 김경재의 성령 이해 - 『성령론』(1997) 강의를 중심으로
- 숨밭 김경재의 ‘대승적 민중신학’ - 민중신학 50년에 대한 회고와 오늘의 민중신학을 향한 제언
- 김경재의 폴 틸리히 신론 해석 - 동아시아 그리스도인의 맥락에서
- 바라봄과 구원 - 불뱀 사건(민 21:4-9) 다시 읽기
- 역대기 저자의 역사 재구성과 신학 - 역대상 6장 레위인 족보를 중심으로
- 자기확장적 이타성을 지향하는 ‘συνείδησις’ - 고린도전후서와 로마서를 중심으로
- 사도행전의 갈릴리인 이해 - 그 묘사의 성격과 의도를 중심으로
- 존 번연의 『천로역정』에서 크리스천의 종교적 경험의 성격 연구 - 마르틴 루터의 『갈라디아서 강의』에 나타난 종교 경험과의 비교
- 혐오의 신경인문학 - 혐오를 넘어 연민으로
- 초국적(transnational)지대의 여성들 - 기지촌 지역에서의 빈곤과 성(性)의 인종화
- 말해지지 않는 고통 - 비인간종의 한(恨)과 정동신학
- 디지털 공간과 온라인 예배에 대한 비판적 성찰 - 매개로서의 종교(religion as medium)를 중심으로
- 커뮤니언(communion)으로서 성공회 정체성 다시 보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신학사상 210집(2025년 가을호) 목차
- 숨밭 김경재의 성령 이해 - 『성령론』(1997) 강의를 중심으로
- 숨밭 김경재의 ‘대승적 민중신학’ - 민중신학 50년에 대한 회고와 오늘의 민중신학을 향한 제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