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Religion as a Medium : A Critical Reflection on Digital Space and Online Worship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저자명
- 김상덕(Sangduck Kim)
- 간행물 정보
- 『신학사상』210집(2025년 가을호), 367~402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인류 사회에 많은 면에서 변화를 가져왔다. 디지털 공간에서의 종교적 실천의 가능성은 신학적 질문과 함께 가상 세계 에 대한 철학적 질문을 함께 던지고 있다. 특별히 코로나19 팬데믹 동안 한국교회는 방역 지침과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으로 인하여 ‘온라인 예 배’라는 새로운 경험에 마주하게 되었다. 이로써 한국교회는 디지털 신앙에 대하여 머리가 아닌 몸으로 먼저 배운 셈이다. 팬데믹 상황이 호전됨 에 따라, 온라인 예배에 대한 혼란은 줄어들었지만 그 여파는 아직도 진행 중이다. 초기의 화두는 두 가지로 분류되었다. 당장 온라인 예배를 ‘어떻게’ 드릴 수 있을지에 대한 기술적인 논의가 하나이고, 다른 하나는 온라인 예배가 과연 ‘온전한’ 예배인가에 대한 염려 섞인 논쟁들이 주를 이루었다.
이제 온라인 예배는 ‘새롭지만 당연한 일상’이 되었다. 일부에서는 온라인 예배와 나아가 온라인 교회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온라인 교회에 대한 기술적 간극이나 신학적 논쟁은 시간을 두고 해결될 문제이지만, 정작 한국의 개신교회(이후 한국교회)가 놓치고 있는 것은 바로 상징의 실종 혹은 타락이다.
이 글에서는 개신교에 대한 이미지가 이미 노후하고 배타적이거나, 심지어 세속적이기까지 한 상황 속에서, 한국교회는 무엇으로 ‘거룩함’을 드러내고 소통할 것인가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디지 털 공간의 특징을 현실의 연장된, 그러나 뒤틀린 공간으로 살펴볼 것이 다. 이어서 디지털 공간의 몸과 감각의 의존성에 대해 살필 것이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예배 혹은 디지털 신앙의 맥락에서 그리스도의 몸된 교 회의 변화와 역할에 대해 제안할 것이다
영문 초록
Digital technology has changed our society in many ways. Among them, the Korean church faced a new experience of 'online worship' due to the quarantine guidelines and 'social distancing' policies. As the pandemic situation improved, the confusion decreased; but the debate on online worship is still ongoing. The initial issue was classified into two aspects. First, there was a practical discussion on media and technology—how to provide online worship service for a congregation; and the other was mainly concerned debates about whether online worship was a 'proper' service.
Now, online worship has become a new normal for Christians at least in Korea. Some are also increasingly interested in online worship and, furthermore, online churches. Technical gaps or theological debates about online churches are a problem to be resolved over time. However, I argue that the real problem for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regarding the debates is the depravity of symbols. Online worship in digital space interrelates our material world. Religious experience in digital space happens in the process of interaction with participant’s memory, including the symbolic image of church in a society.
In this article, in a situation where the image of the Korean church is already old, exclusive, or even secular, I will emphasize the recovery of symbol as “Korean Church”. I argue that religion is mediated and represented not only in digital space but also in real life. To this end, I will firs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space as an extended and twisted space of reality. Then, I will look at the interdependence of the body and senses in digital space. Finally, I will suggest a recovery of a living image of church, focusing on the concept of religion as medium.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디지털 신앙과 온라인 예배에 관한 선행 연구
Ⅲ. 매개로서의 종교 그리고 살아있는 상징
Ⅳ.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학사상 210집(2025년 가을호) 목차
- 숨밭 김경재의 성령 이해 - 『성령론』(1997) 강의를 중심으로
- 숨밭 김경재의 ‘대승적 민중신학’ - 민중신학 50년에 대한 회고와 오늘의 민중신학을 향한 제언
- 김경재의 폴 틸리히 신론 해석 - 동아시아 그리스도인의 맥락에서
- 바라봄과 구원 - 불뱀 사건(민 21:4-9) 다시 읽기
- 역대기 저자의 역사 재구성과 신학 - 역대상 6장 레위인 족보를 중심으로
- 자기확장적 이타성을 지향하는 ‘συνείδησις’ - 고린도전후서와 로마서를 중심으로
- 사도행전의 갈릴리인 이해 - 그 묘사의 성격과 의도를 중심으로
- 존 번연의 『천로역정』에서 크리스천의 종교적 경험의 성격 연구 - 마르틴 루터의 『갈라디아서 강의』에 나타난 종교 경험과의 비교
- 혐오의 신경인문학 - 혐오를 넘어 연민으로
- 초국적(transnational)지대의 여성들 - 기지촌 지역에서의 빈곤과 성(性)의 인종화
- 말해지지 않는 고통 - 비인간종의 한(恨)과 정동신학
- 디지털 공간과 온라인 예배에 대한 비판적 성찰 - 매개로서의 종교(religion as medium)를 중심으로
- 커뮤니언(communion)으로서 성공회 정체성 다시 보기
참고문헌
- 인문사회 21
- 대학과 선교
- 신학과 실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신학과 실천
- 신학과 실천
- 장신논단
- 선교와 신학
- 한국조직신학논총
- 장신논단
- 넘버즈
- 신학과 실천
- 장신논단
- 신학과세계
- 선교와 신학
- 교회교육·복지실천 연구
- 신학연구
- 신학지평
- 복음과 실천신학
- 신학과 실천
- 대학과 선교
- 기독교교육논총
-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신학사상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dia & Arts
- 신학과 실천
- 기독교교육논총
- 신학사상
- 신학과 실천
- 한국조직신학논총
- 신학과 실천
- ACTS 신학저널
- Themelios
- Studies in World Christianity
- Religion across Media: From Early Antiquity to Late Modernity
- Social Athropology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신학사상 210집(2025년 가을호) 목차
- 숨밭 김경재의 성령 이해 - 『성령론』(1997) 강의를 중심으로
- 숨밭 김경재의 ‘대승적 민중신학’ - 민중신학 50년에 대한 회고와 오늘의 민중신학을 향한 제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