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역 문화 생산 기반 공간 재생 모델 개발 연구 - 중국 죽예촌(⽵艺村)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patial Regeneration Model Based on Local Cultural Production : Focusing on the Case of ZhuYi Village (⽵艺村) in China
발행기관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저자명
두문원(Wen Yuan Du) 강재철(Jae Cheol Kang)
간행물 정보
『한국디자인리서치』Vol10, No. 3(통권 36권), 811~825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역 고유의 문화자산을 바탕으로 한 지속가능한 공간 재생의 대안적 방향을 모색하고자, ‘공간생산이론’과 ‘문화생산이론’을 융합한 이론적 틀을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화생산 기반 공간 재생 모델’을 제안하였다. 이론적 고찰을 통해 실재적 공간, 기호적 공간, 함축적 공간의 3차원 공간 구조와 문화 생산 주체들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였으며, 실제 사례로 중국 쓰촨성 죽예촌을 선정하여 모델의 적용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죽예촌은 전통 죽공예를 중심으로 다양한 공간 프로그램(전시, 체험, 교육, 예술 창작 등)을 구성하고, 지역 주민 및 외부 전문가의 협업을 통해 장소성과 공동체 정체성을 회복한 사례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공간을 물리적 대상이 아닌 사회문화적 실천의 결과로 인식하며, 향후 지역 중심의 공간 재생 전략 수립 및 정책 제언에 이론적·실천적 기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an alternative direction for sustainable spatial regeneration based on local cultural assets. By integrating Henri Lefebvre’s Theory of the Production of Space and cultural production theory, the study proposes a “Cultural Production-Based Spatial Regeneration Model.”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the model identifies the three dimensions of space—perceived, conceived, and lived space—and analyzes the interactions between cultural agents and spatial elements. As an empirical case, the study examines ZhuYi Village (竹艺村) in Sichuan, China, where traditional bamboo crafts have been revitalized through the integration of exhibition, hands-on learning, education, and artistic practices. The collaboration among local residents, designers, and institutions has restored the village’s sense of place and cultural identity. This research views space not as a physical backdrop but as the outcome of socio-cultural practices, and aims to provide both theoretical insights and practical strategies for future place-based regeneration polici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중국 죽예촌의 공간 재생 사례 분석
4. 대나무 공간 재생의 적용 방안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두문원(Wen Yuan Du),강재철(Jae Cheol Kang). (2025).지역 문화 생산 기반 공간 재생 모델 개발 연구 - 중국 죽예촌(⽵艺村)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리서치, 10 (3), 811-825

MLA

두문원(Wen Yuan Du),강재철(Jae Cheol Kang). "지역 문화 생산 기반 공간 재생 모델 개발 연구 - 중국 죽예촌(⽵艺村)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리서치, 10.3(2025): 811-8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