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search on Jewelry 3D Design Based on AI Data Prompting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강혜림(Hye Rim Kang)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10, No. 3(통권 36권), 34~47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AI의 텍스트 데이터와 이미지 데이터 프롬프팅 기반 주얼리 3D 디자인의 실증적 가능성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최근 AI 기술의 발전으로 전통적 3D 모델링 방식에 비해 더 효율적인 3D 데이터 생성에 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 연구 분석으로 도출된 텍스트 및 이미지 기반 데이터 프롬프팅 원칙을 적용하여 생성된 3D 모델의 디자인 의도성과 3D 데이터 유효성을 검증한다. 연구 결과, 전문가 FGI를 통한 3D 모델의 디자인 의도성은 텍스트 프롬프팅이 5점 척도 중 3.93점, 이미지 프롬프팅이 3.40점으로 긍정적 평가를 보였다. 3D 모델의 데이터 유효성 확인을 위한 메쉬 구조, 법선 방향, 다양체 검증 결과, 다수의 주얼리 3D 디자인이 유효성을 충족하였다. 본 연구는 AI 창발적 특성에 기반한 ‘디자인 의도성’과 3D 프린팅 적용을 위한 ‘데이터 유효성’을 검증함으로써, AI 기반 데이터 드리븐(data-driven) 방식이 주얼리 산업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가능성을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mpirical feasibility of jewelry 3D design using AI-based text and image data prompting. With recent advances in AI technology, the need for more efficient 3D data generation has been highlighted compared to traditional methods of 3D modeling. Accordingly, this study verifies the design intention and 3D data validity of the generated 3D model based on text and image data prompting principles derived from prior research. As a result of the study, expert FGI positively evaluated the design intention of the 3D model, scoring 3.93 out of 5 for text prompting and 3.40 out of 5 for image prompting. As a result of mesh structure, normal direction, and manifold verification to confirm the data validity of the 3D model, a number of jewelry 3D designs satisfied the validity criteria.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verifies both the design intention based on the emergent properties of AI and the data validity for 3D printing, thereby suggesting the potential of an AI-based, data-driven approach to enhance productivity in the jewelry industry.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데이터 프롬프팅을 활용한 3D 디자인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 Theoretical Framework for User Mental Models in Learning Analytics Systems
- AI 금융 챗봇의 오류 메시지 유형이 사용성, 신뢰도, 선호도,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AI 데이터 프롬프팅 기반 주얼리 3D 디자인 연구
- AI 이미지 생성에서 재현되는 지브리 색채 감성 연구 - 미야자키 하야오 애니메이션 포스터와의 시각적 유사성 분석
- AIGC 기반 ‘초(楚)’ 나라 문화를 활용한 패키지 리뉴얼 디자인 연구 - 샤오후오리(⼩胡鸭)’ 브랜드를 중심으로
- AR 기술 기반의 서적 융합 디자인 연구 - 『본초물어(本草物语)』를 중심으로
- AR 기술기반의 박물관 내비게이션 시스템 UX 디자인 연구 - 중국 량주박물관을 중심으로
- AR/VR 기반 디지털 트윈을 위한 크로스리얼리티 UX 디자인 프레임워크
- B2B 도매 특성에 기반한 주얼리 도매 앱의 UI/UX 디자인 비교연구
- CERS 개념과 생성형 AI 기반 산업디자인의 상관성 연구 - 산업디자인 전공 대학생의 인지평가를 중심으로
- KANO 모델 기반 반려동물 헬스케어 APP UX 디자인 연구
- KANO모델 기반 독거노인 AI 감정인식 인터랙티브 시스템 UX 연구
- K-COS SPIs의 정보특성과 신뢰가 중국 밀레니얼 소비자의 신제품 수용에 미치는 영향
- SEM-ANN 통합 분석을 기반으로 소셜 앱에서 인공지능의 지각 속성이 지속적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싱예’(星野) 앱을 중심으로
- Web3 기반 메타버스 게임 제작에 있어 게임 애셋 제작에 관한 효용성 분석
- XR UX 휴리스틱 원칙 도출 및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한 휴리스틱 적용 방안 연구 - XR 게임 콘텐츠 중심으로
- 1인 가구 Z세대 사용자 감성기반 음성사용자인터페이스(VUI) 디자인 설계에 대한 연구 - Siri를 중심으로
- 경도 인지장애 예방을 위한 태블릿 기반 인지훈련 시스템의 사용자 경험(UX) 평가 - 종이 및 태블릿 기반 인지훈련 시스템의 인지 기능, 학습 성과, 사용성, 감성 반응 평가를 중심으로
- 고령자 친화형 스마트 피트니스 미러 기반 운동 피드백 설계 요소 도출 - UX 전문가 및 고령 사용자 평가 기반
- 국내 LCC 항공사 앱의 UX디자인이 사용자 만족도 및 충성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국내 일간지 기사에 나타난 제주 워케이션의 이미지
- 금융 앱 전환 화면의 노출 방식이 MZ세대의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
- 네이버 웹툰 스포츠 장르의 시각적 특징 연구
- 디자인 분야 질적 연구에서 근거이론 연구의 경향과 특성 - 질적 내용분석(QCA)을 통한 탐색
- 디자인 평가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 - 윤리적 지표 확장 필요성을 중심으로
- 럭셔리 브랜드의 장인정신과 인간 창의성이 Z세대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인식과 소비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 - 구찌(Gucci) 사례를 중심으로
-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지속가능 실천에 대한 소비자 인식 분석
- 린 고객 개발 문제 인터뷰 설계 학습을 위한 생성형 AI 기반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초보 디자이너의 문제 인터뷰 설계 역량 향상을 중심으로
- 매슬로우의 자아실현의 욕구로 접근한 B·I 통합적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 먼셀 색채 체계에 따른 다분야 영화 포스터 색채심리 분석
- 물과 빛 상호작용의 공감각적 스파 공간 사례연구
- 미술품 가치 기반의 NFT 유통 플랫폼 UX 프레임워크 연구
- 바이오필릭 개념의 공공디자인법 적용에 관한 기초연구
- 반려동물 맞춤형 건강·약물 관리 모델 사용자 중심(UX) 서비스 디자인 연구·제안 - 사람의 개인 맞춤 의학 개념의 수의학적 확장
- 반응형 브랜드 상업공간의 공간적 기호 생성 과정에 관한 연구 - 퍼스 기호학을 중심으로
- 보행권 증진을 위한 보도의 유니버설디자인 요소 계층분석 연구
-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반의 아동 그림책 이용자 요구 식별 및 디자인 연구
- 새로운 디지털 미디어 기술을 기반으로 한 산업유산의 문화 보존과 발전 연구 - 현대 대표적 산업유산 사례를 중심으로
- 생성디자인 기반 의자의 감성 어포던스와 사용자 경험 연구 - 인지적 안락감과 자아 성취감을 중심으로
- 생성형 AI 기반 디자인 툴의 사용자 경험(UX) 비교·분석 - Adobe Firefly, Canva Magic Design, Figma AI 디자인 툴을 중심으로
- 생성형 AI 협력을 통한 창의적 질문 설계 모델 연구 - 디자인 교육에서의 창의성 지수·발산도·깊이 지수 기반 평가 체계를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GAI) 시대의 디자인 오리지널리티 재고찰 - 복제와 창작의 경계
- 선을 이용한 행동 변화 유도디자인 연구 - 비지시적 유도방식으로서 원형선과 컬러유도선의 특성 및 사례를 중심으로
- 소비자 구매 향상을 위한 헬스 보충제 패키지 디자인 개선 방안
- 수직형 AMC(Autonomous Mobile Carrier) 디자인 개발 연구
- 시각 문화요소 분석을 통한 원저우(溫州) 어우간(瓯柑) 관광상품 디자인 연구 - 감귤 관광상품을 중심으로
- 아이코노텍스트 특성이 그림책 독자의 흥미도와 몰입에 미치는 영향 - 성인과 초등학생 독자의 다집단 분석을 중심으로
- 온라인 디자인 공유 플랫폼의 현황 및 구조 분석 - 사용자 권리 보호 및 윤리적 측면을 중심으로
- 인간 공학적 접근 방식에 기반한 VR 경험의 디자인 - 인종과 성별에 따른 페이스 인터페이스 재설계
- 인공지능(AI) 기반 개인화 전시 관람 경로 디자인 연구 - 알폰스 무하 전시를 중심으로
- 임산부의 정서적 안정 도모를 위한 정책과 디자인의 감각적 배려 적용 방안 연구
- 자율주행 로보택시의 인포테인먼트 UX 구성요소 연구
- 전 생애주기 텍스타일디자인 교육 프레임워크 연구
- 전통 꼭두를 소재로한 시각콘텐츠화 연구 - 그래픽 및 캐릭터 디자인 개발을 중심으로
- 전통복식을 소재로 한 캐릭터디자인 연구 - 종로구, 조선시대 의복과 복식을 중심으로
- 정원 문화 활성화를 위한 ‘정원 속의 진주’ 브랜드 아이덴티티(BI) 디자인 개발
- 중국 Z세대 소비자의 실버 주얼리 감성 디자인 지각된 가치와 행동 분석에 관한 연구
- 중국 농촌 시장 공간의 문화생산 메커니즘과 활성화 디자인 연구 - 허난 ‘위천 시장’ 사례
- 중국 빈둥지 노인의 노후 주거 공간 최적화 방안 연구
- 지속가능한 브랜드 경험을 위한 디자인 요소의 우선순위 분석 - 가변적 아이덴티티와 인클루시브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 AHP 기반 전문가·학생 집단 비교 연구
- 지역 문화 생산 기반 공간 재생 모델 개발 연구 - 중국 죽예촌(⽵艺村) 사례를 중심으로
- 징저우 태휘관(荊州 太晖觀) 벽장식 도상 연구 - 종교 서사와 의례 공간의 시각적 구축
- 체화인지를 유도하는 텍스타일 공간 경험 연구
- 팀랩 보더리스 온라인 리뷰를 통한 관람 경험 요인 분석 및 미디어아트 확장성 연구
- 파라메트릭 기법을 활용한 플렉서블디자인패턴의 형상화 검토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