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각 문화요소 분석을 통한 원저우(溫州) 어우간(瓯柑) 관광상품 디자인 연구 - 감귤 관광상품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Design of Wenzhou Ougan Tourism Products through the Analysis of Visual and Cultural Elements : focusing on Tangerine Tourism Products
발행기관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저자명
증위건(Wei jian Zeng) 김종기(Jong Ki Kim)
간행물 정보
『한국디자인리서치』Vol10, No. 3(통권 36권), 596~611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 관광산업은 K-콘텐츠 확산으로 급속히 성장하고 있으며, 제주도는 무비자 입국이 가능한 중국 관광객에게 감귤을 활용한 다양한 기념품으로 높은 만족을 주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전통 감귤 산지인 원저우의 관광상품 개발을 위해 제주 감귤 관광상품을 분석하고 디자인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에는 문헌연구, 시장조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감귤의 지역 상징성과 관광상품 개발 사례를 검토하고, 관광상품의 개념·분류 및 원저우 어우간 문화의 특성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제주 감귤 관광상품의 성공 요인과 원저우 관광상품의 한계를 비교 분석하여 색상, 제작방법, 재료, 형태 등 핵심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소비자 설문을 통해 문화적 정체성, 심미성, 기능성 등 구매 욕구를 반영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어우간 여행 다구, 캔버스 백, 핸드메이드 가방, 어우길(甌吉) 도장, 부들부채, 껍질 비누 등 여섯 가지 관광상품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어우간을 활용한 관광상품은 지역문화의 상징성을 강화하고 원저우 관광상품의 다양화 및 지역 브랜딩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 Korean tourism industry has experienced rapid growth driven by the expansion of K-content, and Jeju Island has gained popularity among Chinese tourists who can enter visa-free. In particular, Jeju has provided high satisfaction through a wide range of tangerine-related souvenir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evelopment of tourism products in Wenzhou, a traditional citrus-producing region in China, by analyzing Jeju’s tangerine tourism products and suggesting design directions. The research methodology included literature review, market research, and surveys to examine the regional symbolism of citrus, case studies of tourism product development, as well as the concepts, classifications, and design elements of tourism products. The study compared the success factors of Jeju’s tangerine souvenirs with the limitations of Wenzhou’s tourism products and derived core design elements such as color, production methods, materials, and form. Furthermore, consumer surveys were conducted to reflect purchasing needs related to cultural identity, aesthetics, and functionality. Based on these findings, six tourism products were proposed: Ougan travel tea set, canvas bag, handmade pouch, Ougi(甌吉) seal, bulrush fan, and Ougan peel soap. The results indicate that Ougan-based tourism products can strengthen the cultural symbolism of the region while contributing to the diversification of Wenzhou’s tourism market and enhancing regional branding.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분석
4. 설문조사
5. 디자인 개발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증위건(Wei jian Zeng),김종기(Jong Ki Kim). (2025).시각 문화요소 분석을 통한 원저우(溫州) 어우간(瓯柑) 관광상품 디자인 연구 - 감귤 관광상품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리서치, 10 (3), 596-611

MLA

증위건(Wei jian Zeng),김종기(Jong Ki Kim). "시각 문화요소 분석을 통한 원저우(溫州) 어우간(瓯柑) 관광상품 디자인 연구 - 감귤 관광상품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리서치, 10.3(2025): 596-6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