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 농촌 시장 공간의 문화생산 메커니즘과 활성화 디자인 연구 - 허난 ‘위천 시장’ 사례

이용수  0

영문명
Research on Cultural Production Mechanisms and Activation Design of China Rural Marketplace Spaces : A Case Study of 'weichuan Market' in Henan
발행기관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저자명
유명원(Ming-Yuan Liu) 최경란(Kyung-Ran Choi)
간행물 정보
『한국디자인리서치』Vol10, No. 3(통권 36권), 760~775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재 중국의 농촌 시장은 문화관광 발전 과정에서 문화적 진정성의 상실을 광범위하게 겪고 있으며, 전통 문화의 내포가 공연화된 요소로 단순화되어 공간 맥락의 단절을 초래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허난 위천 시장을 사례로 공간생산 이론과 문화유전자 이론을 창의적으로 통합하고, “삼원 공간 분석→문화유전자 식별→조정성과 모순성 분석”의 이론적 분석 틀을 구축하여 그 공간 문화생산 메커니즘을 분석하였다. 식별된 16개 공간 문화유전자는 표상의 공간(representations of space), 공간 실천(spatial practice), 표상 공간(representational space)의 세 차원에서 차별화된 분포 특성을 보였으며, 이에 따라 교차공간 조정형, 공간 분화형, 주변-침묵형의 세 가지 유형을 형성한다. 공간 문화생산의 조정성 메커니즘은 다중 가치의 양립과 다주체 협동이 이루는 자기강화적 순환으로 나타나며, 모순성 메커니즘은 가치 논리의 충돌과 이해주체 간 이견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메커니즘 분석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문화유전자 활성화 디자인 전략을 제시하여 농촌 시장의 문화 활성화에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설계 근거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Currently, China rural marketplace are extensively experiencing a loss of cultural authenticity in the process of cultural tourism development, where traditional cultural connotations are simplified into performative elements, resulting in the disconnection of spatial contexts. To address this issue, this study takes Weichuan Marketplace in Henan as a case study and creatively integrates spatial production theory and cultural gene theory, constructing a theoretical analytical framework of “three-dimensional spatial analysis → cultural gene identification → coordination and contradiction analysis” to analyze its spatial cultural production mechanisms. The identified 16 spatial cultural genes showed differentiate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cross three dimensions: representations of space, spatial practice, and representational space, thereby forming three types: cross-spatial coordination type, spatial differentiation type, and peripheral-silent type. The coordination mechanism of spatial cultural production manifests as a self-reinforcing cycle achieved through the coexistence of multiple values and multi-agent cooperation, while the contradiction mechanism stems from conflicts in value logic and disagreements among stakeholders. Based on this mechanism analysis, differentiated cultural gene activation design strategies are proposed to provide design foundation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cultural revitalization of rural marketplac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위천 시장의 공간 문화유전자 식별
4. 위천 시장의 공간 문화생산 분석
5. 공간 문화생산에 기반한 활성화 디자인 시사점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명원(Ming-Yuan Liu),최경란(Kyung-Ran Choi). (2025).중국 농촌 시장 공간의 문화생산 메커니즘과 활성화 디자인 연구 - 허난 ‘위천 시장’ 사례. 한국디자인리서치, 10 (3), 760-775

MLA

유명원(Ming-Yuan Liu),최경란(Kyung-Ran Choi). "중국 농촌 시장 공간의 문화생산 메커니즘과 활성화 디자인 연구 - 허난 ‘위천 시장’ 사례." 한국디자인리서치, 10.3(2025): 760-7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