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R/VR 기반 디지털 트윈을 위한 크로스리얼리티 UX 디자인 프레임워크

이용수  0

영문명
Cross-Reality UX Design Framework for AR/VR-Based Digital Twin Environments
발행기관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저자명
홍은정(Eun Jung Hong)
간행물 정보
『한국디자인리서치』Vol10, No. 3(통권 36권), 103~120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웹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구현되는 디지털 트윈 시스템을 위한 크로스리얼리티 UX 디자인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디지털 트윈은 현실 세계의 물리 자산이나 시스템을 가상 공간에 동일하게 복제하여 시뮬레이션 및 분석을 수행하는 기술로서, 건축·건설 분야를 비롯한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트윈에 접근하는 플랫폼마다 사용자 경험이 일관되지 않으면 사용자는 혼란을 느끼고 학습 부담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플랫폼 간 UX 일관성 확보를 위한 시각디자인 전략과 인터랙션 설계 방안을 모색하였다. 선행 연구를 통해 XR 디자인의 원칙과 크로스리얼리티 시스템의 디자인 패턴을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통합된 디자인 시스템 구축, 인터랙션 매핑, 맥락에 따른 적응형 디자인 등의 핵심 전략을 프레임워크로 체계화하였다. 특히 건축 분야의 사례를 들어, 건물의 디지털 트윈 정보를 AR 현장 시각화, VR 시뮬레이션, 웹 대시보드에서 일관되면서도 맥락에 맞게 제공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된 프레임워크는 XR 환경 내 UX 디자인에 대한 실무적 표준화 가능성을 제시하며, 다양한 플랫폼을 아우르는 직관적이고 연속성 있는 사용자 경험을 구현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proposes a cross-reality user experience (UX) design framework for digital twin systems deployed across Augmented Reality (AR), Virtual Reality (VR), and web platforms. Ensuring consistent UX across these heterogeneous platforms is critical for maintaining user familiarity and reducing cognitive load when interacting with digital twins. We first review the concepts of digital twins and cross-reality (XR) environments, highlighting the need for unified design strategies. The framework emphasizes visual design consistency, interaction mapping, and context-appropriate adaptation to bridge real and virtual environments. We derive design principles from existing XR design guidelines and cross-reality design patterns, and formulate a structured process for implementing a unified design system that spans AR/VR interfaces and conventional web dashboards. As a case study in the architecture domain, we illustrate how a building’s digital twin can provide a seamless user experience whether accessed through an AR on-site overlay, an immersive VR simulation, or a web platform. The proposed framework suggests practical standardization possibilities for XR UX design, potentially serving as a guideline for industry adoptio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크로스리얼리티 UX 디자인의 도전과제
4. 크로스리얼리티 UX 디자인 프레임워크 제안
5. 프레임워크 적용 사례: 건축 디지털 트윈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은정(Eun Jung Hong). (2025).AR/VR 기반 디지털 트윈을 위한 크로스리얼리티 UX 디자인 프레임워크. 한국디자인리서치, 10 (3), 103-120

MLA

홍은정(Eun Jung Hong). "AR/VR 기반 디지털 트윈을 위한 크로스리얼리티 UX 디자인 프레임워크." 한국디자인리서치, 10.3(2025): 103-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