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Corporate Employees and The General Public Regarding ESG Management of Textile and Fashion Companies Using IPA Technique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김차영(Chayoung Kim) 박철(Cheol Park) 조성훈(Seong-Hun Cho) 김영무(Young-Moo Kim)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43권 제5호, 19~3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K-ESG가이드라인을 기준으로 섬유패션기업에 대한 ESG 사례연구 및 2차 자료 분석을 통해 ESG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이를 섬유패션 가치사슬 내의 종사자를 3집단(업스트림과 미들스트림을 합하여 생산 집단, 다운스트림을 판매유통집단 민관연구기관 및 학교를 연구 집단)과 일반인으로 나누어 ESG 각 항목별 중요도와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이후 4집단 간 ESG 항목과 기업종사자의 직급별 인식차이를 알아보았다. 또한 ESG 지표의 중요도와 실행도(만족도)를 IPA기법으로 도식화하였다. 그 결과, 4그룹 간 ESG의 중요도는 차이기 없었으나 만족도는 각 부분에서 생산그룹이 유의하게 높았다. 이는 ESG의 중요성은 정부와 기업의 노력으로 보편화되었다고 사료된다. 반면 만족도는 생산집단이 실행자로서 주관적인 자체평가로도 볼 있다. 따라서 생산부분의 ESG 지 중 환경영역은 수치적 목표로 제시되어 객관적으로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직급별로는 중간관리자가 환경의 중요도에서 낮았고, 지배구조의 만족도도 낮게 나타났다. 이는 중간관리자의 ESG에 대한 교육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더불어 지배구조에 대한 인식은 섬유업종 뿐 만 아니라, 타업종의 직급차이에 대한 추가연구가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IPA연구결과 모든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기후온난화와 이에 따른 기상이변의 주요 원인인 온실가스 감축을 집중 개선해야 하는 항목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기업과 지방자치단체는 주민들의 일상생활 속에서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활동을 꾸준히 제시하고 실행력에 대한 공감대를 이끌어가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eveloped ESG evaluation indicators based on the K-ESG Guidelines, analyzing ESG case studies and secondary data for textile and fashion companies. Employees within the textile and fashion value chain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production group (upstream and midstream), the downstream sales and distribution group (research group), and public-private research institutes and schools.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each ESG indicator were assessed.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ESG items and employee job titles across the four groups were then examined. Furthermore, the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satisfaction) of ESG indicators were graphically represented using the IPA technique. While the importance of ESG remained consistent across the four groups, the production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atisfaction across all categories. This suggests that the importance of ESG has become widespread thanks to government and corporate efforts. Conversely, satisfaction can also be viewed as a subjective self-assessment by the production group as an implementer. Therefore, the environmental aspect of ESG in the production sector should be presented as numerical targets and evaluated objectively. By job title, middle managers ranked the environment lower in importance and also showed lower satisfaction with governance. This is likely due to their relatively limited opportunities for ESG education. Furthermor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xamin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governance across job titles, not just in the textile industry but across other industries. Finally, the IPA study found that all groups identified greenhouse gas reduction, a key driver of global warming and resulting extreme weather events, as a key area requiring focused improvement. Therefore, companies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consistently promote greenhouse gas reduction initiatives in residents' daily lives and build consensus on their ability to implement them.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실증분석
V.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혼합정서의 이면: Plutchik (1980)의 다차원적 정서관점으로 본 외로움과 강박구매의 상관관계 분석
- 섬유패션기업의 ESG경영에 대한 기업 종사자 및 일반인의 인식차이: IPA기법 활용
- 인공지능 시대 경영학 교육의 핵심역량, 커리큘럼, 교수법 혁신에 대한 탐색적 연구: 델파이법 접근
- 스마트폰 시장 트렌드 예측을 위한 텍스트마이닝 기반 미래신호예측 방법론: 갤럭시 S25 뉴스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 K뷰티 차별화 전략을 위한 고객체험형 플래그십 스토어 연구
- 코로나19가 R&D 투자성과에 미친 영향: 한국 제조업을 중심으로
- 생성형 AI에 의한 한중 의식주 문화 이미지 편향 및 교정을 위한 최적화 연구
- AI 창작물의 오리지널리티 인식과 소비자 반응: 예술성과 상업성 맥락의 조절효과
- 골프 이용자의 국내 골프장 선택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참여동기, 이용 만족도, 지각된 가치, 충성도에 관한 연구
- 비교에서 행동으로: 외모비교성향이 뷰티 관련 제품의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소셜미디어 사용행동의 매개역할
- 그린소비자의 특성이 브랜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 비용 구조에 따른 친환경 제품 구매의 결정요인 연구
- 매몰비용 효과를 고려한 플랫폼 구독형 멤버십의 게임이론적 분석
- 에코라벨의 제시형태에 따른 친환경제품의 광고효과: 처리유창성, 설득지식의 매개효과와 주의초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경영자 내러티브와 감성 브랜드 전략: Raydel 사례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혼합정서의 이면: Plutchik (1980)의 다차원적 정서관점으로 본 외로움과 강박구매의 상관관계 분석
- 섬유패션기업의 ESG경영에 대한 기업 종사자 및 일반인의 인식차이: IPA기법 활용
- 인공지능 시대 경영학 교육의 핵심역량, 커리큘럼, 교수법 혁신에 대한 탐색적 연구: 델파이법 접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