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of Product Innovation and Business Process Innovation on Corporate Performa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the Modulating Effect of New Digital Technologies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글로벌벤처전략연구소
- 저자명
- 신소리(Sori Shin)
- 간행물 정보
- 『Entrepreneurship&ESG 연구』제5권 제3호, 1~3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상품혁신(Product Innovation, PI)과 비즈니스 프로세스 혁신(Business Process Innovation, BPI)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과정에서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DT)의 매개효과와 디지털 신기술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2023년 「한국기업혁신조사」 서비스업부문 3,219개 기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혁신이 성과로 직접 연결되기보다 DT라는 조직적 전환 경로를거쳐 실현되며, 디지털 기술의 보유 및 활용 수준이 그 효과를 증폭시킬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I와 BPI 모두 매출 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DT는 두 관계에서 부분 매개 효과를 보여, 혁신이 디지털화·자동화·데이터 기반 운영으로 내재화될수록 성과 전환력이 강화됨을 확인하였다. 셋째, 디지털 신기술은 조절 변수로서 PI와BPI의 성과 효과를 유의하게 강화시켜, 기술 도입 수준이 혁신–성과 간 경로의 강도를 결정하는 핵심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즉, DT는 매개 변수로, 디지털 신기술은 조절 변수로 작동함을 명확히 입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의 혁신이 단순히 ‘무엇을 혁신할 것인가(제품·프로세스)’에 머무르지 않고, ‘어떻게 혁신을 성과로 전환할 것인가(조직적 디지털 전환)’와 ‘어떤 기술 역량으로 이를 강화할 것인가(신기술 활용)’가 핵심임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 RBV(Resource-Based View)의 틀에서 혁신–전환–성과의 이중 경로와 디지털 신기술의 경계 조건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진다. 또한, 실무적으로, 기업이 혁신 활동을 성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내부적으로 디지털 전환 역량을 구축하고, 외부적으로 신기술을 전략적으로 활용해야 함을 시사한다. 특히 정부와 산업 차원에서는 디지털 생태계 지원과 공급망 차원의 디지털 전환 정책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Product Innovation (PI) and Business Process Innovation (BPI) on firm performance and empirically tests the mediating role of Digital Transformation (DT) and the moderating role of emerging digital technologies. Using data from 3,219 service-sector firms in the 2023 Korea Innovation Survey, we show that innovation translates into performance primarily through the organizational pathway of DT, and that the possession and use of digital technologies amplify this effec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oth PI and BPI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sales performance. Second, DT partially mediates both relationships, indicating that the more firms internalize innovation through digitalization, automation, and data-driven operations, the stronger the translation of innovation into performance. Third, emerging digital technologies significantly strengthen the performance effects of PI and BPI as a moderator, confirming that the level of technological adoption is a key factor determining the strength of the innovation–performance link. In short, DT operates as a mediator, whereas emerging digital technologies operate as a moderato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irms should move beyond “what to innovate (product/process)” to focus on “how to convert innovation into performance (organizational DT)” and “with what technological capabilities to reinforce it (use of newdigital technologies).” Theoretically, the study contributes by empirically identifying, within the Resource-Based View (RBV), a dual pathway of innovation–transformation– performance and the boundary conditions imposed by emerging digital technologies. Practically, it implies that firms must build internal DT capabilities while strategically leveraging external new technologies to convert innovation into performance. At the policy and industry levels, the results point to the need for support of the digital ecosystem and supply chain–level DT polici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혼합정서의 이면: Plutchik (1980)의 다차원적 정서관점으로 본 외로움과 강박구매의 상관관계 분석
- 섬유패션기업의 ESG경영에 대한 기업 종사자 및 일반인의 인식차이: IPA기법 활용
- 인공지능 시대 경영학 교육의 핵심역량, 커리큘럼, 교수법 혁신에 대한 탐색적 연구: 델파이법 접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