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zing Brokerage Roles in the Electronics Supply Network: A Quantitative Approach Based on Activity and Exclusivity
- 발행기관
- 한국생산관리학회
- 저자명
- 강아롬(AhRom Kang) 정동일(DongIl J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생산관리학회지』第36卷 第3號, 279~29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전자산업을 대상으로, 공급네트워크 내 중개자 기업의 역할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KoDATA의 2021년거래 데이터를 바탕으로 거래관계를 네트워크로 구성하고, 이 중 중개자 역할을 수행하는 389개 기업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중개자 역할은 활동성(activity)과 독점성(exclusivity)이라는 두 지표로 정량화되었으며, 중개자 유형은 기능적유사성에 따라 세 가지(coordinator, boundary spanner, external linking)로 통합하였다. 또한 주성분분석(PCA)과K-means 클러스터링을 통해 네 개의 중개자 클러스터를 도출하였으며, 각 클러스터의 산업 간 연결 양상을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산업연관표 기반 흐름 구조와의 비교 분석을 병행하였다. 이를 통해 실거래 데이터를 바탕으로 산업 간융합 경로를 다각도로 검증하였다. 각 클러스터는 네트워크 중심성, 연결 범위, 산업 간 경계에서의 기능에 따라 ‘다기능형’, ‘외연 확장형’, ‘경계형’, ‘내부 집중형’ 중개자로 분류되었다. 분석 결과, 각 중개자 유형은 네트워크 중심성, 산업 간 연결범위, 대체 불가능성 측면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고, 특히 ‘외연 확장형’과 ‘경계형’ 중개자는 전자산업과 자동차·기계산업간의 융합 흐름을 실질적으로 매개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융합 네트워크 내 전략적 중개자의 구조적 특성을 정량적으로규명하였으며, 이들을 중심으로 한 산업 연결 전략과 정책 설계의 실증적 기초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role of broker firms within the supply network of Korea’s electronics industry, where cross-industry convergence is actively progressing. Using 2021 transaction data from KoDATA, we constructed a network comprising 2,140 transaction ties among 1,351 firms and identified 389 firms that perform brokerage roles. Brokerage roles were quantified using two indicators—activity and exclusivity—and broker types were integrated into three functionally distinct categories: coordinator, boundary spanner, and external link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and K-means clustering were then applied to classify firms into four broker clusters. To complement the network-based quantitative analysis, we compared transaction-based industry flows with patterns found in the national input-output table, thereby enabling multi-faceted verification of cross-industry convergence paths based on real transaction data. The resulting clusters were categorized as multifunctional, externally expanding, boundary-spanning, and internally focused brokers, each showing distinct structural features in terms of network centrality, connectivity, and irreplaceability. Notably, externally expanding and boundary-spanning brokers played a key role in mediating convergence flows between the electronics industry and the automotive and machinery sectors. This study contributes by providing a structural and empirical framework for identifying strategic brokers and offers practical implications for supply chain design and industrial policy.
목차
Ⅰ. 서론
Ⅱ. 문헌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대학의 GWP 조직문화와 대학생의 GRIT이 애교심에 미치는 영향
- 외식업에서의 무인 키오스크 도입 효과 분석: 고객 수요 수준에 따른 성과 차이
- 전자산업 공급네트워크에서의 중개자 역할 분석: 활동성과 독점성 중심의 정량적 접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