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Users’ Behavior and Satisfaction for Forest Interpretation Program Design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저자명
- 백재봉(Jae Bong Baek) 한정호(Jeong Ho Han) 장영미(Young mi Jang) 심상무(Sang moo Shim) 전진현(Jin hyun Jun)
- 간행물 정보
- 『예술· 디자인학연구』제28권 제1호, 89~98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내에 위치한 해운대 수목원에서 진행하는 숲해설 프로그램 참가자 17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숲해설 프로그램 참가자의 이용행태와 숲해설 프로그램의 만족도, 만족요인과 예측모형을 분석하여 숲해설 프로그램 개선에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참가자는 여성(59.2%), 가족 동반(68.2%)의 40대(46.4%), 체험학습 33.5%, 자녀교육 29.6%, 힐링 27.9%의 목적이 많은 빈도를 차지하였다.
이용행태 분석과 중요도-만족도 분석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가족단위 참여자가 많은 만큼, 어린이를 위한 시설의 정비와, 해설 프로그램의 컨텐츠 내실화가 우선 개선되어야 항목으로 판단된다. 요인분석의 결과, 5개의 ‘프로그램요인', ‘규모요인’, ‘홍보요인’, ‘시설요인’, ‘편의요인’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하였으며, 주차장 등 이용의 편의성을 높이는 것, 숲해설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장소의 시설 정비 뿐 아니라, 적정 교육 및 교육 장소의 마련과 적정 인원 참여, 홍보 강화, 무엇보다도 프로그램의 내용, 보조재, 교육 시간, 숲해설가의 자질 함양 등 프로그램의 컨텐츠 개선이 중요한 요인이라 하겠다.
종합적인 만족도와 18개 독립변수로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숲해설 프로그램의 다양성', '휴게시설의 이용 편의성', '프로그램 참가자 수’, “프로그램 진행 시간’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로 나타나 이들 항목에 대한 만족도 개선 노력이 종합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인 예측모형을 얻었다.
영문 초록
A survey was conducted on 179 participants of the ongoing forest interpretation program to analyze the users’ behavior of participants, satisfaction with the forest interpretation program, satisfaction factors, and prediction model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forest interpretation program.
The participants were female(59.2%), in their 40s(46.4%) with their families(68.2%), and the most frequent purpose was experiential learning(33.5%), child education (29.6%,) and healing(27.9%).
As shown in the users’ behavior analysis and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the maintenance of facilities for children and the internalization of the contents of the commentary program are the first factors to be improved as there are many family participants. As a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five ‘program factors’, ‘scale factor’, ‘publicity factor’, ‘facility factor’, and ‘convenience factor’ were interpreted as influencing satisfaction, and it was concluded that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ing parking lots and other facilities, as well as improving the facilities of the places where forest interpretation programs are held, preparing appropriate education venues, appropriate participation, strengthening publicity, and, above all, improving the content of the program, such as the contents, auxiliary materials, training time, and cultivating the qualities of forest expounders, are important factors.
As a result of conducting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ith overall satisfaction and 18 independent variables, “diversity of forest interpretation programs,” “convenience of rest facilities,” “number of program participants,” and “program duration”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and a prediction model was obtained in which efforts to improve satisfaction with these items were the main variables affecting overall satisfaction.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고찰
3. 연구방법
4. 연구 결과 및 고찰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팜봇(Farmbot)을 활용한 융합디자인씽킹 프로그램의 다면적 평가 - 초등교육 맥락에서의 농생명 ICT 및 자동화 교육을 중심으로
- 국내 도자기 작가의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분석
-
하드 밥 드러밍의 미학적 특성 - 아트 블래키(Art Blakey)
와 연주 분석을 중심으로 - 전통의 계보학 - 아트 테이텀과 오스카 피터슨의 재즈 피아니즘에 나타난 스트라이드 스타일과 스케일 어법의 비교 고찰
- ChatGPT 기반 인공지능의 디자인 평가 신뢰도 향상 연구 - 테이블 램프 사례 비교 분석
- 예술·디자인학연구 제28권 제1호 목차
- 1950-60년대 프랑스 대중음악 특징 분석 - 영화 『쉘부르의 우산』삽입곡을 중심으로
- 한·중·일 오페라 수용 및 자국화 양상에 관한 사례 분석 고찰
- 중국 상해 거주 20대 여성의 한국 패션 브랜드 재킷 디자인 선호도 및 제안 연구
- 실감 기술의 적용이 국내 아이돌 VR 콘서트 관람 경험에 미치는 상관관계 분석
- 숲해설 프로그램 디자인을 위한 이용자 행태 및 만족도 연구
-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패션 관련 학회 특징 비교 :학회장 인사말을 중심으로
- 생성형 AI 도구의 UI 구조 비교 - 디자이너의 창작 경험과 상호작용 흐름을 중심으로
- 숭고 미학의 관점에 입각한 파빌리온 설계 연구
- 지속가능한 벼 부산물 기반 소재를 활용한 축제용 업사이클 식기 디자인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빅데이터를 활용한 워케이션 트렌드 분석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팜봇(Farmbot)을 활용한 융합디자인씽킹 프로그램의 다면적 평가 - 초등교육 맥락에서의 농생명 ICT 및 자동화 교육을 중심으로
- 국내 도자기 작가의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분석
-
하드 밥 드러밍의 미학적 특성 - 아트 블래키(Art Blakey)
와 연주 분석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