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doption and Localization of Opera in Korea, China, and Japan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저자명
- 이주현(JU Hyun LEE) 홍성규(Sung Kyoo Hong)
- 간행물 정보
- 『예술· 디자인학연구』제28권 제1호, 11~2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중국, 일본의 서양 오페라 수용 및 자국화 양상에 관한 대표적 작품을 비교 분석한 연구이다. 각국의 오페라 특징을 파악하고 한국 오페라의 발전 방향과 세계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은 전통적인 민속 음악과 서사적 요소를 결합하여 전통적 요소를 표현하였다. 중국은 서양 오페라 형식에 사회변화를 강조하는 혁명적·민족주의적 메시지 중심의 특징을 보였다. 일본은 서양 오페라 형식에 일본 전통 연극과 음악 요소를 결합하여 일본적 미의식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요약과 제언으로 구성하였다. 70여 년 역사의 한국 오페라는 아직 여러 문제점을 노정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한국 오페라계의 문제 및 해결책을 모색하고 활성화 방안 및 세계화 방향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ception and adaptation of Western opera in Korea, China, and Japan, focusing on representative works. The goal was to identify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opera in each country and to explore potential development directions and strategies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opera.
The results revealed that Korea combined traditional folk music with narrative elements to express its cultural heritage through opera. China, meanwhile, emphasized revolutionary and nationalist messages within the Western opera format, with a strong focus on social change. In Japan, Western opera was fused with elements of traditional Japanese theater and music, highlighting the nation’s unique aesthetic sensibilities.
The study’s conclusion consists of a summary of the key findings and offers suggestions for the future of Korean opera. Despite its over 70-year history, Korean opera continues to face significant challenges. This research addresses these issues and proposes solutions, suggesting strategies for revitalizing the Korean opera and enhancing its global presence. The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adapting traditional cultural elements while embracing modern trends, aiming to enhance the development of Korean opera and facilitate its recognition on the global stage. By addressing the present challenges and exploring ways to overcome them, the study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the future development of Korean opera.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팜봇(Farmbot)을 활용한 융합디자인씽킹 프로그램의 다면적 평가 - 초등교육 맥락에서의 농생명 ICT 및 자동화 교육을 중심으로
- 국내 도자기 작가의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분석
-
하드 밥 드러밍의 미학적 특성 - 아트 블래키(Art Blakey)
와 연주 분석을 중심으로 - 전통의 계보학 - 아트 테이텀과 오스카 피터슨의 재즈 피아니즘에 나타난 스트라이드 스타일과 스케일 어법의 비교 고찰
- ChatGPT 기반 인공지능의 디자인 평가 신뢰도 향상 연구 - 테이블 램프 사례 비교 분석
- 예술·디자인학연구 제28권 제1호 목차
- 1950-60년대 프랑스 대중음악 특징 분석 - 영화 『쉘부르의 우산』삽입곡을 중심으로
- 한·중·일 오페라 수용 및 자국화 양상에 관한 사례 분석 고찰
- 중국 상해 거주 20대 여성의 한국 패션 브랜드 재킷 디자인 선호도 및 제안 연구
- 실감 기술의 적용이 국내 아이돌 VR 콘서트 관람 경험에 미치는 상관관계 분석
- 숲해설 프로그램 디자인을 위한 이용자 행태 및 만족도 연구
-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패션 관련 학회 특징 비교 :학회장 인사말을 중심으로
- 생성형 AI 도구의 UI 구조 비교 - 디자이너의 창작 경험과 상호작용 흐름을 중심으로
- 숭고 미학의 관점에 입각한 파빌리온 설계 연구
- 지속가능한 벼 부산물 기반 소재를 활용한 축제용 업사이클 식기 디자인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빅데이터를 활용한 워케이션 트렌드 분석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팜봇(Farmbot)을 활용한 융합디자인씽킹 프로그램의 다면적 평가 - 초등교육 맥락에서의 농생명 ICT 및 자동화 교육을 중심으로
- 국내 도자기 작가의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분석
-
하드 밥 드러밍의 미학적 특성 - 아트 블래키(Art Blakey)
와 연주 분석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