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숭고 미학의 관점에 입각한 파빌리온 설계 연구

이용수  3

영문명
A Study on Pavilion Design from the Perspective of Sublime Aesthetics
발행기관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저자명
전진현(Jinhyun Jun)
간행물 정보
『예술· 디자인학연구』제28권 제1호, 165~173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후변화와 플라스틱 폐기물로 인한 심각한 환경 문제에 대응하여, 숭고미학을 공간디자인에 적용한 파빌리온 설계 방법론을 제시한다. 18세기부터 미학 이론의 핵심을 이루어온 숭고미 개념을 현대적 맥락에서 재해석하여, 환경 문제의 경고와 사회적 각성을 유도하는 설계 도구로 확장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18세기 에드먼드 버크와 임마누엘 칸트의 숭고론을 기반으로 공간디자인에서 숭고의 개념을 재정의하고, 미국, 스위스, 일본, 독일의 건축작품 9점, 조경작품 3점, 설치미술작품 2점 등 총 14개의 대표적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숭고미를 촉발하는 다섯 가지 핵심 특징을 도출하였다: 거대한 규모와 무한성, 상징성 및 종교성, 비물질성, 그로테스크한 형태, 자연의 모티브 활용. 이러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이탈리아 볼로냐 마조레 광장에 설치할 'Wailing Chapel'이라는 플라스틱 모뉴먼트 파빌리온을 설계하였다. 800개의 PVC 파이프로 구성된 이 구조물은 파이프 오르간을 연상시키는 종교적 상징성, 바람에 의한 소리 생성의 비물질성, 현상학적 스케일을 통한 무한성, 기울어진 형태의 그로테스크함을 구현하여 관람자에게 압도적인 감정적 경험을 제공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숭고미를 개인적 미적 경험에서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확장시켜, 환경 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집단적 행동을 촉진하는 설계 방법론을 제시한 것이다. 이는 현대 공간디자인에서 숭고미가 사회적 변화를 이끄는 실천적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oposes a pavilion design methodology that applies the aesthetics of the sublime to spatial design, in response to the serious environmental issues caused by climate change and plastic waste. The concept of the sublime, which has been central to aesthetic theory since the 18th century, is reinterpreted in a contemporary context and expanded as a design tool to warn of environmental problems and foster social awareness. The research method redefines the concept of the sublime in spatial design based on the theories of Edmund Burke and Immanuel Kant from the 18th century. It analyzes 14 representative cases, including nine architectural works, three landscape designs, and two installation art pieces from the United States, Switzerland, Japan, and Germany. Through this analysis, five key characteristics that evoke the sublime are identified: monumental scale and infinity, symbolism and religiosity, immateriality, grotesque forms, and the use of natural motifs. Based on this theoretical exploration, the study designs a plastic monument pavilion called “Wailing Chapel” to be installed in Piazza Maggiore, Bologna, Italy. Composed of 800 PVC pipes, this structure embodies religious symbolism reminiscent of a pipe organ, immateriality through sound generated by wind, a sense of infinity through phenomenological scale, and grotesqueness in its tilted form, providing visitors with an overwhelming emotional experien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expanding the sublime from a personal aesthetic experience to a tool for social communication, presenting a design methodology that raises awareness of environmental issues and encourages collective action. This demonstrates that, in contemporary spatial design, the sublime can be used as a practical tool to drive social chang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파빌리온 설계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진현(Jinhyun Jun). (2025).숭고 미학의 관점에 입각한 파빌리온 설계 연구. 예술· 디자인학연구, 28 (1), 165-173

MLA

전진현(Jinhyun Jun). "숭고 미학의 관점에 입각한 파빌리온 설계 연구." 예술· 디자인학연구, 28.1(2025): 165-1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