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Genealogy of Tradition - A Comparative Study of Stride Style and Scale Usage in the Jazz Pianism of Art Tatum and Oscar Peterson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저자명
- 구자경(Ja Kyeong Koo) 전윤한(Yoon Han Jeon)
- 간행물 정보
- 『예술· 디자인학연구』제28권 제1호, 117~124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트 테이텀과 오스카 피터슨의 'Body and Soul' 연주를 중심으로 스트라이드 스타일과 스케일 어법의 사용 양상을 비교·분석한 것이다. 두 연주자는 동일한 곡을 바탕으로 하였음에도 선율 구성, 리듬 전개, 즉흥 연주 방식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테이텀은 전통적 스트라이드 양식을 기반으로 하여 32분음표 스케일 패시지, 더블 타임, even 8ths 리듬의 활용 등을 통해 표현의 폭을 확장하였으며, 피터슨은 패턴화된 패시지와 셔플 리듬, 스트라이드 스타일 내의 왼손 보이싱 변화를 통해 자신만의 해석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재즈 피아니즘이 고정된 양식이 아닌, 연주자의 해석과 미학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됨을 밝히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usage patterns of stride style and scale-based techniques in Art Tatum and Oscar Peterson’s performances of Body and Soul. Although both pianists base their interpretations on the same tune, they exhibit clear differences in melodic construction, rhythmic development, and improvisational approach. Tatum expands the expressive range of traditional stride style by utilizing thirty-second note scale passages, double-time, and even 8ths rhythm. In contrast, Peterson presents his own interpretation through patterned passages, shuffle rhythms, and changes in left-hand voicing within the stride style. Through this, the study aims to reveal that jazz pianism is not a fixed form, but one that can be flexibly structured according to each performer’s interpretation and aesthetic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Body and Soul에 나타난 연주 스타일 비교
4. 고찰 - 연주 스타일의 계승과 변용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팜봇(Farmbot)을 활용한 융합디자인씽킹 프로그램의 다면적 평가 - 초등교육 맥락에서의 농생명 ICT 및 자동화 교육을 중심으로
- 국내 도자기 작가의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분석
-
하드 밥 드러밍의 미학적 특성 - 아트 블래키(Art Blakey)
와 연주 분석을 중심으로 - 전통의 계보학 - 아트 테이텀과 오스카 피터슨의 재즈 피아니즘에 나타난 스트라이드 스타일과 스케일 어법의 비교 고찰
- ChatGPT 기반 인공지능의 디자인 평가 신뢰도 향상 연구 - 테이블 램프 사례 비교 분석
- 예술·디자인학연구 제28권 제1호 목차
- 1950-60년대 프랑스 대중음악 특징 분석 - 영화 『쉘부르의 우산』삽입곡을 중심으로
- 한·중·일 오페라 수용 및 자국화 양상에 관한 사례 분석 고찰
- 중국 상해 거주 20대 여성의 한국 패션 브랜드 재킷 디자인 선호도 및 제안 연구
- 실감 기술의 적용이 국내 아이돌 VR 콘서트 관람 경험에 미치는 상관관계 분석
- 숲해설 프로그램 디자인을 위한 이용자 행태 및 만족도 연구
-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패션 관련 학회 특징 비교 :학회장 인사말을 중심으로
- 생성형 AI 도구의 UI 구조 비교 - 디자이너의 창작 경험과 상호작용 흐름을 중심으로
- 숭고 미학의 관점에 입각한 파빌리온 설계 연구
- 지속가능한 벼 부산물 기반 소재를 활용한 축제용 업사이클 식기 디자인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빅데이터를 활용한 워케이션 트렌드 분석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팜봇(Farmbot)을 활용한 융합디자인씽킹 프로그램의 다면적 평가 - 초등교육 맥락에서의 농생명 ICT 및 자동화 교육을 중심으로
- 국내 도자기 작가의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분석
-
하드 밥 드러밍의 미학적 특성 - 아트 블래키(Art Blakey)
와 연주 분석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