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Design Preferences of the Korea fashion brand jacket of Women Aged 20s living in Shanghai China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저자명
- 한우신(Yu Chen Han) 최정욱(Jeong Wook Choi)
- 간행물 정보
- 『예술· 디자인학연구』제28권 제1호, 25~3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중국 상해지역 20대 여성 중 한국 패션 브랜드 의복을 구매한 이력과 현황, 선호 이유, 가장 선호하는 아이템, 디자인 등을 조사하고,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재킷 디테일 요소를 결합하여 디자인을 도출해보자고 하였다. 먼저 국내 패션 브랜드 및 아이템 선호도를 파악하기 위해, 2023년 10월 24일부터 2024년 2월 29일에 걸쳐 중국 상해에 거주하는 20대 여성 648명 대상으로 한국 패션 브랜드 의복구매 및 착용실태 그리고 선호도에 대한 온라인 설문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의복 구매회수는 '년 1∼2회'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복 선택 시 중요한 특성은 '피트성'이 가장 높게 나왔다. 주로 구입하는 의복 종류를 살펴보면 '캐주얼'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선호하는 의복 아이템은 '재킷'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선호하는 재킷의 디테일을 살펴본 결과, '허리 부분이 들어간 프린세스 라인', '투 버튼 싱글 브레스트 재킷', '엉덩이둘레선 정도의 재킷 길이', '노치드 라펠 테일러드 칼라', '더블 파이핑 포켓', '센터벤트'를 가장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상해 거주 20대 여성의 선호 아이템인 재킷을 제안하는데,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디테일을 조합하여 디자인을 제안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중국 상해지역에 거주하는 20대 여성의 한국 패션 브랜드 의복 디자인 선호도 및 착용실태를 조사하여 재킷 패턴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재킷 디자인을 제안하고 후속 연구에서는 실제 산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정확한 패턴을 개발한다, 다른 아이템으로 확장하여 연구를 적용할 예정이다. 한편, 추후 연구에서는 구매실태를 파악할 때 의복 구매회수와 수량을 같이 파악하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영문 초록
Among women in their 20s in Shanghai, China, the history and status of purchasing Korean fashion brand clothing, reasons for preference, favorite items, and designs were investigated,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details of the jacket were combined to derive the design. First, to find out the preference for Korean fashion brands and item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648 women in their 20s living in Shanghai, China, from October 24, 2023 to February 29, 2024 on the purchase, wearing and preference of Korean fashion brands. The number of garment purchases was the highest at “one to two times a year,” while “fitness” was the highest in the selection of clothes.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casual’ wear was found to be the most popular type of clothing they purchase and ‘jacket’ was the most preferred item among them. The details of the preferred jackets include such features as 'princess line with waist', 'two button single-breasted jacket', 'jacket length about hip girth line', 'notched lapel tailored collar', 'double piping pocket', and 'center vent'. This study proposes a jacket, a preferred item of women in their 20s living in Shanghai, and proposes a design by combining detail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jacket pattern design by investigating the preference and wearing status of Korean fashion brand clothing by women in their 20s living in Shanghai, China. In this study, the jacket design is proposed, and in subsequent studies, the exact pattern will be developed for practical industry use, and the research will be extended to other items. Meanwhile, in future research, it seems necessary to identify the number of garment purchases and the quantity when identifying the purchase statu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및 절차
4. 연구결과 및 고찰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팜봇(Farmbot)을 활용한 융합디자인씽킹 프로그램의 다면적 평가 - 초등교육 맥락에서의 농생명 ICT 및 자동화 교육을 중심으로
- 국내 도자기 작가의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분석
-
하드 밥 드러밍의 미학적 특성 - 아트 블래키(Art Blakey)
와 연주 분석을 중심으로 - 전통의 계보학 - 아트 테이텀과 오스카 피터슨의 재즈 피아니즘에 나타난 스트라이드 스타일과 스케일 어법의 비교 고찰
- ChatGPT 기반 인공지능의 디자인 평가 신뢰도 향상 연구 - 테이블 램프 사례 비교 분석
- 예술·디자인학연구 제28권 제1호 목차
- 1950-60년대 프랑스 대중음악 특징 분석 - 영화 『쉘부르의 우산』삽입곡을 중심으로
- 한·중·일 오페라 수용 및 자국화 양상에 관한 사례 분석 고찰
- 중국 상해 거주 20대 여성의 한국 패션 브랜드 재킷 디자인 선호도 및 제안 연구
- 실감 기술의 적용이 국내 아이돌 VR 콘서트 관람 경험에 미치는 상관관계 분석
- 숲해설 프로그램 디자인을 위한 이용자 행태 및 만족도 연구
-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패션 관련 학회 특징 비교 :학회장 인사말을 중심으로
- 생성형 AI 도구의 UI 구조 비교 - 디자이너의 창작 경험과 상호작용 흐름을 중심으로
- 숭고 미학의 관점에 입각한 파빌리온 설계 연구
- 지속가능한 벼 부산물 기반 소재를 활용한 축제용 업사이클 식기 디자인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빅데이터를 활용한 워케이션 트렌드 분석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팜봇(Farmbot)을 활용한 융합디자인씽킹 프로그램의 다면적 평가 - 초등교육 맥락에서의 농생명 ICT 및 자동화 교육을 중심으로
- 국내 도자기 작가의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분석
-
하드 밥 드러밍의 미학적 특성 - 아트 블래키(Art Blakey)
와 연주 분석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