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Hard Bop Drumming : Focused Analysis of Art Blakey’s Performances in 〈Kozo’s Waltz〉 and 〈Free for All〉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저자명
- 김건국(Kun kook Kim) 전윤한(Yoon Han Jeon)
- 간행물 정보
- 『예술· 디자인학연구』제28권 제1호, 51~6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하드 밥 드러밍의 미학적 구조를 규명하고자 와 등 하드 밥 드러밍의 대표적 연주를 중심으로 아트 블래키의 드러밍 특성을 분석하였다. 블래키는 하드 밥 양식의 형성과 정착 과정에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한 인물로, 그의 드러밍은 단순한 시간 유지 기능을 넘어 음악의 흐름과 서사를 조직하는 리듬적 주도성의 모델로 평가된다.본 연구는 문헌 고찰과 직접 채보에 기반한 분석을 병행하였으며, 두 곡의 구체적 연주 구간을 중심으로 아트 블래키의 드러밍 특성을 해석적으로 고찰하였다. 에서는 드럼 솔로 후반부(32-56마디)에 나타나는 루디멘트 운용과 밀도 조절 방식을 분석하였고, 에서는 헤드 파트 전개 과정에서 드러머의 라이드 패턴 구성과 앙상블 내 상호작용 양상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이를 통해 하드 밥 드러밍의 형식적 구성 원리와 미학적 요소, 그리고 드러머가 연주 구조 내에서 수행하는 다차원적 역할을 구조적으로 조망하였다. 본 연구는 연주 기반 분석을 통해 재즈 드러밍의 해석 가능성과 표현 주체로서의 드러머 역할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는 데 의의를 둔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esthetic structure of hard bop drumming, with a focus on analyzing the drumming characteristics of Art Blakey through representative performances such as and . Art Blakey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formation and consolidation of the hard bop style, and his drumming is regarded as a model of rhythmic leadership that organizes the flow and narrative of music, transcending the mere function of timekeeping. The research combines literature review and direct transcription-based analysis, specifically focusing on the distinct performance sections of the two tracks to interpret Blakey's drumming traits. In , the analysis concentrates on the use of rudimental techniques and density control in the latter half of the drum solo (bars 32-56). In , the study highlights the drummer's ride cymbal pattern construction and the interaction within the ensemble during the head section development. Through this analysis, the study provides a structural overview of the formal principles and aesthetic elements of hard bop drumming, along with the multidimensional roles that drummers play within the musical structure.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lies in its expansion of the interpretative possibilities of jazz drumming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drummer's role as an expressive agent in performance.
목차
1.서론 및 이론적 배경
2. 분석 및 미학적 고찰
3.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팜봇(Farmbot)을 활용한 융합디자인씽킹 프로그램의 다면적 평가 - 초등교육 맥락에서의 농생명 ICT 및 자동화 교육을 중심으로
- 국내 도자기 작가의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분석
-
하드 밥 드러밍의 미학적 특성 - 아트 블래키(Art Blakey)
와 연주 분석을 중심으로 - 전통의 계보학 - 아트 테이텀과 오스카 피터슨의 재즈 피아니즘에 나타난 스트라이드 스타일과 스케일 어법의 비교 고찰
- ChatGPT 기반 인공지능의 디자인 평가 신뢰도 향상 연구 - 테이블 램프 사례 비교 분석
- 예술·디자인학연구 제28권 제1호 목차
- 1950-60년대 프랑스 대중음악 특징 분석 - 영화 『쉘부르의 우산』삽입곡을 중심으로
- 한·중·일 오페라 수용 및 자국화 양상에 관한 사례 분석 고찰
- 중국 상해 거주 20대 여성의 한국 패션 브랜드 재킷 디자인 선호도 및 제안 연구
- 실감 기술의 적용이 국내 아이돌 VR 콘서트 관람 경험에 미치는 상관관계 분석
- 숲해설 프로그램 디자인을 위한 이용자 행태 및 만족도 연구
-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패션 관련 학회 특징 비교 :학회장 인사말을 중심으로
- 생성형 AI 도구의 UI 구조 비교 - 디자이너의 창작 경험과 상호작용 흐름을 중심으로
- 숭고 미학의 관점에 입각한 파빌리온 설계 연구
- 지속가능한 벼 부산물 기반 소재를 활용한 축제용 업사이클 식기 디자인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빅데이터를 활용한 워케이션 트렌드 분석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팜봇(Farmbot)을 활용한 융합디자인씽킹 프로그램의 다면적 평가 - 초등교육 맥락에서의 농생명 ICT 및 자동화 교육을 중심으로
- 국내 도자기 작가의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분석
-
하드 밥 드러밍의 미학적 특성 - 아트 블래키(Art Blakey)
와 연주 분석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