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속가능한 벼 부산물 기반 소재를 활용한 축제용 업사이클 식기 디자인 연구

이용수  6

영문명
A Study on the Design of Upcycled Tableware for Festivals Using Sustainable Rice By-product-based Materials
발행기관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저자명
김도윤(Doyoon Kim) 박서현(Seohyun Park) 이가은(Gaeun Lee) 한혜영(Hyeyoung Han) 김유빈(Youbin Kim)
간행물 정보
『예술· 디자인학연구』제28권 제1호, 149~164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축제, 야외 행사 등 일회성 식문화 환경에서 다량 사용되는 일회용기의 구조적·환경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벼 부산물인 쌀겨를 활용한 친환경 업사이클 식기 디자인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종이의 찢기·접기 특성을 반영한 구조적 아이디어를 통해 사용자 편의성과 자원 순환을 동시에 달성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1) 야외 식사 행태 및 불편 요인에 대한 조사, (2) 쌀겨의 소재화 가능성에 대한 실험 및 델파이 조사, (3) 종이 기반 다기능 식기 디자인 및 프로토타입 개발, (4) 사용자 피드백 평가의 네 단계로 수행되었다. 설문 결과, 사용자의 과반수는 기존 일회용기의 운반성과 위생성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델파이 조사에서는 쌀겨 혼합 소재의 친환경성에 대한 공감이 높았으며, 자체 실험을 통해 목재 펄프와 쌀겨 결합 소재의 시편을 도출하였다. 최종 디자인된 ‘토독(TODOK)’ 식기는 사용자 실험을 통해 운반 편의와 식사 공간 개선 측면에서 긍정적 반응을 얻었다. 본 연구는 쌀겨 기반 업사이클 소재의 실용성과 지속가능한 디자인 전략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velop eco-friendly upcycled tableware to address the structural and environmental issues associated with disposable containers used in temporary food culture settings such as festivals and outdoor events. The research explores rice bran, a byproduct of rice processing, as a key material, and incorporates structural ideas inspired by paper’s tearing and folding properties to enhance user convenience and promote resource circulation.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four stages: (1) surveys and field observations on eating behaviors and inconveniences in outdoor settings; (2) experiments and a Delphi study on the material potential of rice bran; (3) design and prototyping of multifunctional paper-based upcycled tableware; and (4) scenario-based user experience evaluation. Survey results showed that 56.2% of users experienced discomfort due to a lack of structural support while eating on laps or the ground, with significant dissatisfaction regarding the portability and hygiene of existing disposable containers. The Delphi study highlighted agreement on the environmental value and regional applicability of a straw pulp-rice bran composite, while also noting the need to improve processing stability, material properties, and manufacturing compatibility. Experimental materials combining wood pulp and rice bran yielded prototypes with strong form retention and visual consistency. The final product, “TODOK,” features a foldable, multifunctional design made from a single material, offering improved portability and environmental benefits. User testing confirmed enhancements in transportability, eating space, and hygiene. This study demonstrates the practicality of rice bran as an upcycled material and proposes a sustainable design strategy adaptable to nontraditional consumption environment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디자인 개발 및 사용성 평가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도윤(Doyoon Kim),박서현(Seohyun Park),이가은(Gaeun Lee),한혜영(Hyeyoung Han),김유빈(Youbin Kim). (2025).지속가능한 벼 부산물 기반 소재를 활용한 축제용 업사이클 식기 디자인 연구. 예술· 디자인학연구, 28 (1), 149-164

MLA

김도윤(Doyoon Kim),박서현(Seohyun Park),이가은(Gaeun Lee),한혜영(Hyeyoung Han),김유빈(Youbin Kim). "지속가능한 벼 부산물 기반 소재를 활용한 축제용 업사이클 식기 디자인 연구." 예술· 디자인학연구, 28.1(2025): 149-1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