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ing Interface Structures of Generative AI Tools : Focusing on Designer’s Creative Experience and Interaction Flow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저자명
- 황현하(Hyeon Ha Hwang) 이보람(Boram Lee)
- 간행물 정보
- 『예술· 디자인학연구』제28권 제1호, 125~14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디자이너들이 활용하는 주요 생성형 AI 도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 구조를 분석하고, 그 상호작용 방식이 디자이너의 창작 과정에 미치는 구조적 특성을 탐색하였다. 특히 생성 과정에서의 상호작용 구조가 디자이너의 사용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입력 구조, 개입 구조, 피드백 구조, 조작 흐름의 네 가지 분석 기준을 설정하였으며, Midjourney, DALL-E, Firefly, ComfyUI, Runway, Luma, Sora 등 7개의 주요 생성형 AI 도구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은 각 도구의 공식 문서, 사용자 리뷰, 디자인 커뮤니티 내 논의, 도구 화면 관찰 등 다양한 준실증적 자료를 바탕으로 인터페이스 구조와 사용자 상호작용 흐름 중심의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구 간 UI 구조는 창작 흐름, 개입 가능성, 결과물 완성 방식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디자이너의 사용 경험 차이를 유발할 수 있는 핵심 요인으로 해석되었다. 본 연구는 도구 간 UI 구조 차이를 사용자 중심의 창작 경험 관점에서 조망함으로써, 향후 디자이너 중심의 생성형 AI 도구 설계를 위한 기초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how the UI structures of key generative AI tools influence designers' creative processes. Using four criteria input, intervention, feedback, and interaction flow seven tools were examined through official documents, user reviews, and interface observations. The results show structural differences affecting creative flow, control, and output. The study offers insights for developing generative AI tools that better support designer-centered workflow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분석 프레임 및 절차
4. 분석 결과
5. 논의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팜봇(Farmbot)을 활용한 융합디자인씽킹 프로그램의 다면적 평가 - 초등교육 맥락에서의 농생명 ICT 및 자동화 교육을 중심으로
- 국내 도자기 작가의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분석
-
하드 밥 드러밍의 미학적 특성 - 아트 블래키(Art Blakey)
와 연주 분석을 중심으로 - 전통의 계보학 - 아트 테이텀과 오스카 피터슨의 재즈 피아니즘에 나타난 스트라이드 스타일과 스케일 어법의 비교 고찰
- ChatGPT 기반 인공지능의 디자인 평가 신뢰도 향상 연구 - 테이블 램프 사례 비교 분석
- 예술·디자인학연구 제28권 제1호 목차
- 1950-60년대 프랑스 대중음악 특징 분석 - 영화 『쉘부르의 우산』삽입곡을 중심으로
- 한·중·일 오페라 수용 및 자국화 양상에 관한 사례 분석 고찰
- 중국 상해 거주 20대 여성의 한국 패션 브랜드 재킷 디자인 선호도 및 제안 연구
- 실감 기술의 적용이 국내 아이돌 VR 콘서트 관람 경험에 미치는 상관관계 분석
- 숲해설 프로그램 디자인을 위한 이용자 행태 및 만족도 연구
-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패션 관련 학회 특징 비교 :학회장 인사말을 중심으로
- 생성형 AI 도구의 UI 구조 비교 - 디자이너의 창작 경험과 상호작용 흐름을 중심으로
- 숭고 미학의 관점에 입각한 파빌리온 설계 연구
- 지속가능한 벼 부산물 기반 소재를 활용한 축제용 업사이클 식기 디자인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빅데이터를 활용한 워케이션 트렌드 분석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팜봇(Farmbot)을 활용한 융합디자인씽킹 프로그램의 다면적 평가 - 초등교육 맥락에서의 농생명 ICT 및 자동화 교육을 중심으로
- 국내 도자기 작가의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분석
-
하드 밥 드러밍의 미학적 특성 - 아트 블래키(Art Blakey)
와 연주 분석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