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French Popular Music in the 1950s and 1960s : Focusing on the Songs Featured in the film 『Les parapluies de Cherbourg』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저자명
- 오은정(Eun Jung Oh) 홍성규(Sung Kyoo Hong)
- 간행물 정보
- 『예술· 디자인학연구』제28권 제1호, 1~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950-60년대 프랑스 대중음악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매체의 발달 및 보급으로 재즈(Jazz), 팝(Pop), 락(Rock) 등 다양한 장르가 유입되었고, 전통적인 샹송(Chanson)과 융합을 통해 급격한 발전과 확장을 이루었던 시기였다. 본 연구는 영화 『쉘부르의 우산(Les Parapluies De Cherbourg)』에 삽입된 음악을 중심으로 1950-60년대 프랑스 대중음악의 주요 특징을 분석하고, 음악적 요소들이 영화 음악 속에서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본 영화의 삽입곡들은 당시 대중음악에서 나타난 장르 간 융합, 화성 진행의 다양성, 반주 구성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영화 음악 속에서 재즈와 클래식, 샹송의 융합과 반주의 변형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당시 프랑스 대중음악의 발전 양상을 보여준다. 이를 연구함으로써 프랑스 대중음악의 특징 연구에 초석이 되고자 희망한다.
영문 초록
The 1950s and 1960s were a pivotal era in the evolution of French popular music, characterized by the fusion of traditional chanson with genres such as jazz, pop, and rock, facilitated by the rapid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media following World War II. This study examines the music featured in 『Les Parapluies de Cherbourg』, analyzing the defining characteristics of French popular music during this period and their reflection in film scores.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film's music incorporates key elements of the era, including genre fusion, harmonic complexity, and innovative accompaniment structures. Specifically, the integration of jazz, classical, and chanson elements, along with the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accompaniment styles, illustrates the dynamic evolution of French popular music. This research aims to lay the groundwork for further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French popular music and its artistic significanc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1950-60년대 프랑스 대중음악의 특징
4. 영화 삽입곡에서 나타난 대중음악적 요소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팜봇(Farmbot)을 활용한 융합디자인씽킹 프로그램의 다면적 평가 - 초등교육 맥락에서의 농생명 ICT 및 자동화 교육을 중심으로
- 국내 도자기 작가의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분석
-
하드 밥 드러밍의 미학적 특성 - 아트 블래키(Art Blakey)
와 연주 분석을 중심으로 - 전통의 계보학 - 아트 테이텀과 오스카 피터슨의 재즈 피아니즘에 나타난 스트라이드 스타일과 스케일 어법의 비교 고찰
- ChatGPT 기반 인공지능의 디자인 평가 신뢰도 향상 연구 - 테이블 램프 사례 비교 분석
- 예술·디자인학연구 제28권 제1호 목차
- 1950-60년대 프랑스 대중음악 특징 분석 - 영화 『쉘부르의 우산』삽입곡을 중심으로
- 한·중·일 오페라 수용 및 자국화 양상에 관한 사례 분석 고찰
- 중국 상해 거주 20대 여성의 한국 패션 브랜드 재킷 디자인 선호도 및 제안 연구
- 실감 기술의 적용이 국내 아이돌 VR 콘서트 관람 경험에 미치는 상관관계 분석
- 숲해설 프로그램 디자인을 위한 이용자 행태 및 만족도 연구
-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패션 관련 학회 특징 비교 :학회장 인사말을 중심으로
- 생성형 AI 도구의 UI 구조 비교 - 디자이너의 창작 경험과 상호작용 흐름을 중심으로
- 숭고 미학의 관점에 입각한 파빌리온 설계 연구
- 지속가능한 벼 부산물 기반 소재를 활용한 축제용 업사이클 식기 디자인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빅데이터를 활용한 워케이션 트렌드 분석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팜봇(Farmbot)을 활용한 융합디자인씽킹 프로그램의 다면적 평가 - 초등교육 맥락에서의 농생명 ICT 및 자동화 교육을 중심으로
- 국내 도자기 작가의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분석
-
하드 밥 드러밍의 미학적 특성 - 아트 블래키(Art Blakey)
와 연주 분석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