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바울의 감사에 대한 연구 재고하기: 감사의 자료, 형식, 기능, 그리고 감사의 내용

이용수  6

영문명
Rethinking the Study of Pauline Thanksgiving: The Source, Form, Function, and Content of Thanksgiving
발행기관
개혁신학회
저자명
임충열(Chungyeol Lim)
간행물 정보
『개혁논총』제72권, 413~43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슈베르트 이후로 바울의 감사 단락에 대한 신약학자들의 연구는 주로 감사의 자료(source), 형식(form), 그리고 기능(function)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고, 이 세 가지 요소들에 대한 다음과 같은 정의가 널리 수용되었다: (1) 자료: 바울 감사의 자료는 그리스-로마의 서신 관습(Greco-Roman epistolary conventions)에서 유래되었다. (2) 형식: 바울 감사는 서신의 형식적 요소들에 근거한 “전형적인” 형식을 가지고 있다. (3) 기능: 바울 감사의 주된 기능은 본론에서 다루어질 주제를 미리 예고하는 예시적(foreshadowing) 혹은 서신적(epistolary) 기능이다. 하지만 슈베르트 이후로 계속되어 온 세 가지 초점에 대한 이러한 전제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비판을 받으며 재고를 요청받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먼저 그간 바울의 감사 연구의 중심을 이루어 왔던 세 가지 요소들과 그것들의 전제를 재평가하고, 슈베르트 이래로 간과되었던 ‘내용’이라는 요소에 좀 더 집중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바울의 감사가 헬라적, 유대적 자료들을 참조했을지라도 궁극적으로 바울의 감사는 바울에 의해 창조적으로 형성된 것이다(자료). 둘째, 바울은 특정한 형식에 얽매이지 않으며, 수신자들의 상황에 따라 자유로운 형식으로 하나님께 감사한다(형식). 셋째, 이러한 바울의 감사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는데, 하나님께 감사하며 영광을 돌리는 송영적 기능도 포함한다(기능). 넷째, 바울 감사의 주요한 요소인 내용, 즉 주제로서의 감사의 중요성을 다시금 인식하고 집중해야 한다(내용).

영문 초록

Since Schubert, New Testament scholarship on Paul’s thanksgiving paragraphs has focused primarily on the source, form, and function of the thanksgiving, and the following definitions of these three elements have been widely accepted: (1) Source: The source of Paul’s thanksgiving is derived from Greco-Roman epistolary conventions. (2) Form: The Pauline thanksgiving has a “typical” form based on the formal elements of the letter. (3) Function: The primary function of the Pauline thanksgiving is foreshadowing, or epistolary, as it foreshadows the subject matter to be addressed in the body of the letter. However, these three emphases, which have persisted since Schubert, have been criticized in various ways and called for reconsideration. Therefore, this study will first reevaluate the three elements that have been central to the study of Paul’s thanksgiving and their assumptions, and propose to focus more on the element of content that has been overlooked since Schubert. First, Paul’s thanksgiving may have drawn on Hellenistic and Jewish sources, but ultimately Paul’s thanksgiving was creatively shaped by Paul (source). Second, Paul’s thanksgiving is not bound to a particular form, but is free to be shaped by the circumstances of the recipients (form). Third, Paul’s thanksgiving fulfills a variety of functions, including the doxological function of giving thanks and glorifying God (function). Fourth, we must recognize and focus on the importance of the content,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of Paul’s thanksgiving, which is the theme of thanksgiving (content).

목차

1 서론
2 자료: 바울의 감사는 헬라적 기원을 가지는가?
3 형식: “전형적인” 형식, 위치 그리고 순서가 있는가?
4 기능: 예시적 기능(혹은 서신적 기능)이 주된 기능인가?
5 내용: 바울의 감사의 주요한 주제로서 감사에 주목하기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충열(Chungyeol Lim). (2025).바울의 감사에 대한 연구 재고하기: 감사의 자료, 형식, 기능, 그리고 감사의 내용. 개혁논총, (), 413-436

MLA

임충열(Chungyeol Lim). "바울의 감사에 대한 연구 재고하기: 감사의 자료, 형식, 기능, 그리고 감사의 내용." 개혁논총, (2025): 413-4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