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the Influence of old Princeton theology on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Focusing on Reformed Confessionalism
- 발행기관
- 개혁신학회
- 저자명
- 신종철(Jong Cheol Shin)
- 간행물 정보
- 『개혁논총』제72권, 281~323쪽, 전체 4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7,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구 프린스톤 신학은 개혁주의 입장에서 4가지 확신들이 있다. 개혁파 고백주의, 성경, 스코틀랜드 보편철학, 종교적 경험(성령의 사역) 등이다. 이러한 구 프린스톤신학은 한국 장로교회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왜냐하면 초기 선교사들 가운데 프린스톤 출신이 가장 많고, 그 외에 많은 선교사들이 구 프린스톤 신학사상을 고취히고 있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구 프린스톤 신학과 한국장로교에 관한 연구’이다. 특히 ‘개혁파 고백주의’를 중심으로 한국장로교회에 미친 영향을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아취발트 알렉산더, 찰스 핫지, 워필드 3인이 강조했던 ‘개혁파 고백주의’ 중심으로 한국 장로교에 미친 영향을 고찰하였다.
첫째, 구 프린스톤의 개혁파 고백주의는 한국 장로교회에 ‘오직 성경(Sola Scriptura) 사상’을 고취하게 하였다. ‘오직 성경 사상’은 장로교 12신조에서 명백히 찾아볼 수 있다. 1907년 한국 장로교회 독노회에서 채택한 12 신조는 인도 장로교회 신조에서 비롯된 것이다. 인도 장로교회 신조는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의 요약이었다.
둘째, 구 프린스톤의 신학의 개혁파 고백주의는 한국장로교회의 정통 보수주의신학을 확립하는데 결정적인 토대를 마련했다. 이를 대표하는 인물은 박형룡 박사였다.
셋째, 개혁파 고백주의는 ‘신사참배 거부와 순교신앙’의 토대를 제공하였다. 이들은 성경과 신조에 대한 충실한 고백과 완전한 서약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구체적인 실례는 순교자 주기철을 통해 잘 엿 볼 수 있다. 그런데 6.25 한국 전쟁 이후 ‘개혁파 고백주의’의 모습은 삶으로 나타나지 않았고 학문적인 연구도 매우 부족하였다. 최근에 와서야 신앙고백에 관한 책들이 출판되고 세미나가 진행되고 있다. 이를 계기로 한국장로교회는 계속해서 구 프린스톤이 보여주었던 ‘개혁파 고백주의’를 더 명확하게 한국교회 장로교회 정체성으로 표현하고 가르치고 전파해야만 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is a study of the old Princeton theology and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In particular, I studied the influence of Reformed confessionalism on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For this purpose, I examine the influence on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centered on the ‘Reformed Confessionalism’ emphasized by Achwald Alexander, Charles Hodge, and Warfield.
First, the Reformed Confessionalism of the old Princeton led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to promote the idea of ‘Sola Scriptura.’ This is evident in the adoption of the Twelve Confessions of Presbyterian Faith.
Second, Reformed Confessionalism laid the decisive foundation for establishing the orthodox conservative theology of the Korea Presbyterian Church. This was represented by Dr. Park Hyung-Ryong.
Third, Reformed Confessionalism was a sure basis for the rejection of Shinto worship and martyrdom.They demonstrated a faithful confession and full Subscription Bible and creeds. This is exemplified by the Martyr Chu Ki-Cheol. However, after the Korean War, Reformed Confessionalism was not shown in Christians life and its academic research was very scarce. Only recently books are published and seminars are held on the confession of faith.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must continue to express, teach and preach the Reformed Confessionalism of the old Princeton more clearly as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identity.
목차
1 들어가면서
2 구(舊) 프린스톤과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3 구 프린스톤 신학의 개혁파 고백주의와 한국장로교회
4 나가면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장로교회 초기의 교리문답 교육과 그 영향에 관한 연구: 1881년부터 1922년까지를 중심으로
- 초대 교회 신경의 “예수 단락”의 변화 연구: 니케아 신경, 콘스탄티노플 신경 및 칼케돈 신앙 정식을 중심으로
- 아타나시우스의 ‘호모우시아’ 개념에 관한 연구: 그의 책 『아리우스 반박』을 중심으로
- 니케아 신경 이해의 신학적 역사적 전통
- “대속죄일의 대속”으로서의 힐라스테리온(ἱλαστήριον): 로마서 3:25의 신학적 함의
- 니케아 신경의 형성과 전수: 성경, 믿음의 준칙, 정화와 상승, 그리고 탐구의 관계성
- 열린 신학의 성경 읽기 이해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구(舊) 프린스톤 신학이 한국장로교회에 미친 영향: 개혁파 고백주의를 중심으로
- 베드로전서 3:18-22에 묘사된 그리스도의 고난과 승리
- 전도서 종결 메시지(12:13-14)의 신학적 역할과 해석
- 평양신학교의 성경론
- Atonement as the Fulfillment of Christ’s Threefold Office: A Critical Reassessment of Feminist Atonement Theology
- 바울의 감사에 대한 연구 재고하기: 감사의 자료, 형식, 기능, 그리고 감사의 내용
- “연합”(Union)과 “본받음”(Imitation)의 상호작용: 로마서 12:1-15:13에 나타나는 바울 윤리의 신학적 구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