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우크스부르크 종교평화협약(1555)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The Peace of Augsburg(1555)
발행기관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저자명
조용석(Yong Seuck Cho)
간행물 정보
『갱신과 부흥』Vol.36, 7~3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555년 아우크스부르크 제국의회가 루터파와 가톨릭 진영의 공존을 명시적으로 선언하고 인정함으로써, 1517년 시작되었던 프로테스탄트 종교개혁은 전환점을 맞이하게 되었다. 1546년-1547년의 쉬말칼덴 전쟁과 1552년 제후들의 봉기 이후 페르디난트 1세는 교파의 분열에 대한 잠정적 해법에 대하여 협상하고자 했다. 아우크스부르크 제국의회의 중요한 성과는 당시까지 불가능하다고 간주되었던 교파적 다양성을 수용하며 교파간의 평화적 공존을 통하여 정치적 회복을 구현하고자 했던 것이다. 즉 루터파에 대한 공식적 인정은 교파적 통일이 실현될 때까지라고 전제한 후, 교파간의 차이를 초월하여 정치적 안정을 시도하는 것이었다. 아우크스부르크 종교평화협약은 신학적 차이점에 대하여 논의하지 않은 채, 로마 가톨릭 교회와 루터 교회의 평화적 공존을 법적으로 규정한 것으로서, 단순하게 잠정적 협약이 아니라, 두 교파의 일치의 실현을 염두에 둔 실효적 조치를 명시한 영구적 협약이었다. 본 협약에 근거하여, 두 교파는 제국법의 보호를 받게 되었으며, 종교적 이유로 인하여 발발하는 전쟁은 평화적 공존을 저해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되었다. 아우크스부르크 종교평화협약은 신학적 차이를 초월하여 최종적인 두 교파의 일치를 염두에 둔 평화협정으로서, 양 교파의 평화적 공존을 위하여 교파 간의 갈등을 심화시키는 군사적 충돌 혹은 법적인 강압은 배제되었다.

영문 초록

The Protestant Reformation, which had begun in 1517, reached a turning point when the Peace of Augsburg promulgated on September 25, 1555, by the Diet of the Holy Roman Empire assembled earlier that year at Augsburg, explicitly declared the peaceful coexistence of two co-existing religious confessions (Lutheranism and Catholicism). After the Schmalkaldic War of 1546-1547 and the uprising of the princes in 1552, Ferdinand I attempted to negotiate a provisional solution to the schism between the denominations. An important achievement of Peace of Augsburg was that it attempted to realize political recovery through peaceful coexistence between denominations while accepting the denominational diversity that had been considered impossible until then. In other words, the official recognition of Lutheranism was premised on the premise that denominational unity would be achieved, and an attempt was made to transcend the theological differences and achieve the political stability. The Peace of Augsburg as the legal basis for the peaceful coexistence of Lutheraniam and Catholicism was not simply a provisional agreement, but rather an effective measure and a perpetual agreement that designed to realize the unity of two denominations without discussion on the theological differences. Through this agreement, Lutheranism and Catholicism were protected by imperial law. Wars that were fought for religious reasons were considered an important factor that hindered the peaceful coexistence. It was a peace treaty that did not envision a division between the two denominations, but rather a final unity of the two denominations. Therefore, military conflict or legal coercion that would deepen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denominations was ruled out for the peaceful coexistence of Lutheraniam and Catholicism beyond theological differences.

목차

Ⅰ. 글을 시작하며
Ⅱ. 본 연구를 위한 역사적 전제
Ⅲ. 아우크스부르크 종교평화협약의 내용과 구조
Ⅳ. 아우크스부르크 종교평화협약의 핵심규정
Ⅴ. 글을 정리하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용석(Yong Seuck Cho). (2025).아우크스부르크 종교평화협약(1555) 연구. 갱신과 부흥, (), 7-32

MLA

조용석(Yong Seuck Cho). "아우크스부르크 종교평화협약(1555) 연구." 갱신과 부흥, (2025): 7-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