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terpretation of Ecclesiastes 12:13-14
- 발행기관
- 개혁신학회
- 저자명
- 김성진(Sungjin Kim)
- 간행물 정보
- 『개혁논총』제72권, 349~381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전도서 12장 13-14절에 대한 세 가지 해석, 곧 역사비평적 해석, 두 화자 공존설, 전통적 해석을 소개하고 검토한 뒤, 이 가운데 전통적 해석의 타당성을논증한다. 역사비평적 관점은 12장 13-14절을 전도자의 염세적 발언을 보완하기 위해 후대 편집자가 삽입한 신앙적 결론으로 본다. 두 화자 공존설은 전도서에 본론부의 ‘전도자’(1:12-12:7)와 결언부의 ‘익명의 지혜 교사’(12:8-14)라는 두 인물이 존재한다고 보고, 결언부를 본론부에 대한 평가이자 교정으로 해석한다. 이에 반해 본고는 전통적 해석의 입장에서, 12장 13-14절이 전도자가 본론부 전체를 통해 탐구한 삶의 의미와 신학적 주제들을 집약하며, 전도서 전체의 메시지를 완성하는 결론임을 주장한다. 특히 결언부는 ‘하나님 경외’와 ‘하나님의 심판’이라는 주제를 본론부와 일관되게 다루고 있으며, 언어적·주제적·구조적으로도 본론부와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12장 13-14절은 후대의 첨가나 ‘익명의 지혜 교사’의 발언이 아니라, 전도자의 말로서 전도서 전체를 하나의 통일된 메시지로 읽게 하는 신학적 중심이자 해석의 열쇠로 간주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ree representative interpretations of Ecclesiastes 12:13-14: the historical-critical interpretation, the dual-voice view, and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The historical-critical approach regards 12:13-14 as a pious conclusion inserted by a later editor to soften or counterbalance the pessimistic tone of the Teacher. The dual-voice view posits two distinct speakers within Ecclesiastes−the “Teacher” of the body (1:12-12:7) and an “anonymous sage” in the epilogue (12:8-14)−and interprets the epilogue as an evaluation and correction of the main discourse. In contrast, this study argues from the standpoint of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that 12:13-14 constitutes the Teacher’s own conclusion, encapsulating the theological themes and reflections on the meaning of life explored throughout the body of the book, and thus serves as the climax of Ecclesiastes’ message. In particular, the epilogue articulates the recurring themes of “fearing God” and “divine judgment,” exhibiting strong linguistic, thematic, and structural coherence with the body of Ecclesiastes. Therefore, 12:13-14 should not be regarded as a later addition or the words of an anonymous sage, but as the words of the Teacher himself−functioning as the theological center and interpretive key that enables Ecclesiastes to be read as a unified and coherent message.
목차
1 들어가며
2 전도서 12장 13-14절에 대한 세 가지 해석과 평가
3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장로교회 초기의 교리문답 교육과 그 영향에 관한 연구: 1881년부터 1922년까지를 중심으로
- 초대 교회 신경의 “예수 단락”의 변화 연구: 니케아 신경, 콘스탄티노플 신경 및 칼케돈 신앙 정식을 중심으로
- 아타나시우스의 ‘호모우시아’ 개념에 관한 연구: 그의 책 『아리우스 반박』을 중심으로
- 니케아 신경 이해의 신학적 역사적 전통
- “대속죄일의 대속”으로서의 힐라스테리온(ἱλαστήριον): 로마서 3:25의 신학적 함의
- 니케아 신경의 형성과 전수: 성경, 믿음의 준칙, 정화와 상승, 그리고 탐구의 관계성
- 열린 신학의 성경 읽기 이해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구(舊) 프린스톤 신학이 한국장로교회에 미친 영향: 개혁파 고백주의를 중심으로
- 베드로전서 3:18-22에 묘사된 그리스도의 고난과 승리
- 전도서 종결 메시지(12:13-14)의 신학적 역할과 해석
- 평양신학교의 성경론
- Atonement as the Fulfillment of Christ’s Threefold Office: A Critical Reassessment of Feminist Atonement Theology
- 바울의 감사에 대한 연구 재고하기: 감사의 자료, 형식, 기능, 그리고 감사의 내용
- “연합”(Union)과 “본받음”(Imitation)의 상호작용: 로마서 12:1-15:13에 나타나는 바울 윤리의 신학적 구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