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열린 신학의 성경 읽기 이해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용수  9

영문명
A Critical Examination of Open Theism’s Understanding of Bible Reading
발행기관
개혁신학회
저자명
박태수(Tae Soo Park)
간행물 정보
『개혁논총』제72권, 243~279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열린 신학의 성경 읽기 방식과 이해에 대하여 신학적으로 비판적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열린 신학자들은 전통 신학을 비모험 모델로 제시하며 하나님을 모든 측면에서 변치 않으시고 전지전능하며, 저항할 수 없는 능력을 갖춘 분으로 묘사한다. 둘째, 열린 신학을 모험 모델로 제시하며, 하나님을 사랑과 민감성 그리고 개방성을 가진 분으로 세상에 일어나는 일에 대하여 인간과 역동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분으로 묘사한다. 또한 신인동형적 구절에 대한 직설적 주석을 통해 하나님의 관계적 상호작용과 인간의 자유의지와 도덕적 책임, 하나님의 개방성을 강조한다. 이 같은 선이해를 적용하여, 열린 신학의 하나님은 일어난 일들을 후회하기도 하고, 예상치 못한 상황에 직면하고, 위기를 당하고, 좌절을 경험하며, 그리고 사람들의 진정한 믿음을 알기 위해서 시험하시는 분이시며, 예언의 성취 여부가 조정 가능하게 하신 분으로 제시한다. 열린 신학은 성경 본문 중 자신들의 주장에 부합하는 구절들만 선택적으로 인용하므로 성경에 나타난 교훈적 본문이나 전통적 신론에 기반한 본문들은 간과하거나 축소해 해석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성경의 예언조차 인간의 반응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조건적인 것으로 이해함으로써, 예언의 성취를 하나님의 주권이 아닌 인간의 자유의지에 의존시키는 문제점을 드러낸다. 또한 열린 신학은 성경 구절을 취사선택하고, 신인동형론의 성경 구절들을 직설적 해석을 통해 하나님의 속성을 수정하므로 새로운 하나님을 주장하는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결론적으로 열린 신학은 인간의 이해와 공감을 얻기 위해 하나님의 개방성과 역동성을 강조하였지만, 그 과정에서 성경의 무오성, 하나님의 절대주권, 불변성과 섭리의 완전성을 부인하거나 약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그러므로 열린 신학은 하나님의 영광을 온전히 드러내기보다는, 오히려 하나님의 위엄과 영광 그리고 위대한 속성에 치명적 흠을 가하는 왜곡된 신학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xamine and theologically critique the Bible reading and interpretation presented by Open Theism. Open Theism presents a risk model and a non-risk model as hermeneutical models for Bible reading. Open Theists present traditional theology as a non-risk model, depicting God as unchanging, omnipotent, and irresistibly powerful in all aspects. A key aspect of Open Theism is its literal interpretation of anthropomorphic passages of the Bible, to emphasize God’s relational interaction, human free will, moral responsibility, and God’s openness. Open Theists present the God who regrets how things turn out, who takes risks, who confronts the unexpected, who is frustrated, who tests people to know their character, and who allows for the potential adjustment of prophetic fulfillment based on human response. Open Theists selectively choose passages that support its claims, often overlooking or minimizing the importance of didactic texts and those grounded in traditional divine attributes. Furthermore, understanding biblical prophecies as merely conditional and alterable based on human reaction is seen as problematic, as it appears to make the fulfillment of prophecy dependent on human free will rather than God’s absolute sovereignty. Critics also point to the risks associated with this selective interpretation, literal understanding of anthropomorphic passages, and the potential denial of biblical inerrancy. Modifying traditional views of God’s reliability, providence, and core attributes is seen as asserting a ‘new God,’ deviating from traditional theology.

목차

1 서론
2 열린 신학의 성경 이해의 핵심 주장
3 열린 신학자들의 성경 읽기와 해석
4 열린 신학의 성경 읽기와 이해에 나타난 문제점
5 결론: 열린 신학의 성경 읽기와 이해에 대한 평가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태수(Tae Soo Park). (2025).열린 신학의 성경 읽기 이해에 대한 비판적 고찰. 개혁논총, (), 243-279

MLA

박태수(Tae Soo Park). "열린 신학의 성경 읽기 이해에 대한 비판적 고찰." 개혁논총, (2025): 243-2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