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tonement as the Fulfillment of Christ’s Threefold Office: A Critical Reassessment of Feminist Atonement Theology
이용수 3
- 영문명
- 발행기관
- 개혁신학회
- 저자명
- 김인배(In Bae Kim)
- 간행물 정보
- 『개혁논총』제72권, 481~513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속죄 교리에 대한 여성 신학적 비판에 응답하며, 그리스도의 삼중직(왕, 제사장, 선지자)을 통해 드러나는 속죄의 신학적 의미가 사회적 약자들, 특별히 학대 상황에 처한 여성들에게 어떤 구속적 의미를 제공할 수 있는지를 고찰한다.
일부 여성신학자들은 속죄 교리가 고난을 미화하고 여성의 고통을 정당화하므로 교회에서 더 이상 속죄 교리를 가르쳐서는 안 된다고 비판해왔다. 이에 반해 본 논문은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서 삼중직을 완성하셨다는 성경적 증거를 바탕으로, 속죄 교리가 여성과 사회적 약자들에게 희망의 원천임을 논증한다.
이를 위해 첫째, 속죄 교리 안에서 나타나는 그리스도의 삼중직의 신학적 이미지와 그를 통해 계시되는 자유, 정의, 사랑의 구속적 의미를 고찰하고, 둘째, 그리스도의 사역에 참여하는 그리스도인의 소명을 통해 속죄 교리가 현대 사회, 특별히 사회적 약자와 학대당하는 여성들에게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를 고찰한다.
따라서 속죄 교리는 고난을 정당화하는 교리가 아니라, 죄로 인해 파괴된 세상 속에서 고통받는 이들을 위한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을 선포하고 실현하는 교리로서, 오늘날 교회가 계속해서 가르치고 실천해야 할 핵심 진리임을 본 논문은 강조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responds to feminist critiques of the doctrine of atonement and explores how its theological meaning-revealed through Christ’s threefold office as king, priest, and prophet-can offer redemptive significance for the marginalized, especially for women in abusive situations.
While some feminist theologians argue that the doctrine of atonement glorifies suffering and justifies the pain of women, this paper contends that the doctrine should not be discarded. Rather, this paper maintains that, based on the biblical testimony that Christ fulfilled his threefold office on the cross, the doctrine of atonement should serve as a source of hope for women and other marginalized people.
To support this claim,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theological meaning of Christ’s threefold office within the doctrine of atonement, and how it reveals the redemptive realities of liberation, justice, and love. Second, it considers how Christians are called to participate in Christ’s work, and how the doctrine of atonement can be embodied today-especially for women in abusive circumstances.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doctrine of atonement is not meant to justify suffering, but to proclaim and enact Christ’s redemptive work for those who suffer in a world broken by sin. It is, therefore, a central truth the church must continue to teach and live out today
목차
1 Introduction
2 Christ in the Atonement
3 Christians in the Atonement
4 Conclusion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장로교회 초기의 교리문답 교육과 그 영향에 관한 연구: 1881년부터 1922년까지를 중심으로
- 초대 교회 신경의 “예수 단락”의 변화 연구: 니케아 신경, 콘스탄티노플 신경 및 칼케돈 신앙 정식을 중심으로
- 아타나시우스의 ‘호모우시아’ 개념에 관한 연구: 그의 책 『아리우스 반박』을 중심으로
- 니케아 신경 이해의 신학적 역사적 전통
- “대속죄일의 대속”으로서의 힐라스테리온(ἱλαστήριον): 로마서 3:25의 신학적 함의
- 니케아 신경의 형성과 전수: 성경, 믿음의 준칙, 정화와 상승, 그리고 탐구의 관계성
- 열린 신학의 성경 읽기 이해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구(舊) 프린스톤 신학이 한국장로교회에 미친 영향: 개혁파 고백주의를 중심으로
- 베드로전서 3:18-22에 묘사된 그리스도의 고난과 승리
- 전도서 종결 메시지(12:13-14)의 신학적 역할과 해석
- 평양신학교의 성경론
- Atonement as the Fulfillment of Christ’s Threefold Office: A Critical Reassessment of Feminist Atonement Theology
- 바울의 감사에 대한 연구 재고하기: 감사의 자료, 형식, 기능, 그리고 감사의 내용
- “연합”(Union)과 “본받음”(Imitation)의 상호작용: 로마서 12:1-15:13에 나타나는 바울 윤리의 신학적 구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